- 전체기사
필자명 '박경자' 검색 결과 41 건
- 연못
- 대부분의 사찰의 입구에는 연못이 조성되어 있어 사찰경관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연못에는 연꽃이 만개한 극락세계의 장엄이 현현되고 있다. 무량수경에서는 극락정토의 연못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불..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7년5월109호
- 18세기 실경화와 조경(5)
- 영화는 자기의 공간에 대한 자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미 영화에서 카메라라는 기계장
치가 제단(decoupage)한 프레임은 그 안에 주어진 자연으로 자기의 공감의 일부를 만드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영화가 본..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8년12월128호
- 18세기 실경화(實景畵)와 조경(8)
- 창덕궁(昌德宮)은 조선왕조의 별궁(離宮)으로 태종 때에 창건되었다. 창건시의 궁은 큰 규모는 아니었으나 세조 때에 왕이 이곳으로 이어(移御)하면서 궁성을 확장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궁은 전소(全燒..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9년3월131호
- 옛길
- 길과 문화현상과의 횡적관계로서가 아닌 종적인 길의 발달사로 파악할 때 옛길은 중앙정권의 통치수단에 필요한 점과 연결선이었다. 이 때문에 우리역사에서의 옛길은 중앙정치의 명령하달이나 지배수단의 필..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년5월85호
- 18세기 실경화(實景畵)와 조경
- 주변의 제건물군 배치형식은 대부분의 건물이 남향이고 각 건물의 중심축은 중앙부의 기본축에 평행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 축성은 기본중심축에 비하면 완화된 감을 주고 있다. 즉 경회루 주변에서 보면 경회..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8년11월127호
- 사적지 조경의 현주소 ; 문화재조경 보수방법
- 문화재는 우리민족이 이룩한 유형 무형의 문화적 소산을 포괄하는 보존할 만할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을 지칭한다. 문화재보호법에는 문화재의 종류를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의 4개 유형으..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년7월87호
- 장독대
- 각 지방의 장독대를 조사하면서 장독대가 갖는 주택공간 속에 점유하는 중요도는 물론이거니와 우리나라의 장독대는 세계 속에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문화양식이다. 오늘날 가공식품의 발달과 아파트..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년1월81호
- 괴석
- 괴석은 조선왕조실록에 제석으로도 표기되며, 이에 대한 기록은 여러 곳에서 나오지만 조선조 정조 년간의 김홍도 그림에서 볼 수 있다. 이와같이 실경산수화에 괴석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찬찬..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년3월83호
- 18세기 실경화(實景畵)와 조경
- 지금까지 한국전통조경의 주된 연구대상은 보존되어 왔거나 발굴된 유적지를 대상으로 관련 사료를 수집, 유적지를 해석하는 방법을 주로 취해왔다. 그러나 현존하는 유적지의 수와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그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8년8월124호
- 석조
- 이글에서는 물확, 석연지, 석조를 통틀어서 석조라는 말로 대표하려 한다.
먼저 물확은 돌확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작은 돌절구를 의미하기도 한다,
과히 크지않은 돌덩이를 조금 가공하여 그 중앙에 큰 홈..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1월79호
- 굴뚝
- 역사적으로 굴뚝이 처음 만들어진 것은 선사시대 수혈주거로서 평면중앙부에 노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여기에서 나오는 연기를 수혈 밖으로 내보낼 어떤 구멍이 필요했을 것이며, 이런 필요에서 점차 굴뚝이..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년2월8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