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장태현' 검색 결과 37 건
역사에 남은 공주 길문화의 도시 천안
옛날과 오늘의 도시 차이란 전략적 방어와 경제적 성장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일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치 못한 도시는 역사적 도시로 남아있거나 사라져버리고 말았을 것이다. 변하지 않을 것만 같은 공..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85121
중국조경 시장의 전망과 우리의 자세
앞으로의 중국의 전망은 어떠할까? 80년대 이후 “경제의 자유화” 정책은 돌아갈 수 없는 선을 넘어섰고 중국의 정치체제를 보거나 경제의 자유화 진행에 따른 아래로 부터의 해보겠다는 상황으로 보아서는 등..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5585
중국과의 설계용역 가능성
1990년도 당시에는 조경연합회에서 추진하던 세계 조경가대회(I.F.L.A)에 중국과 북한을 초청하려던 목적이 있었고, 이어서 1993년도에 제공되었던「백두산 총체개발계획」역시 우리 조경계의 중국진출이란 가..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11151
그래도 넘쳐야 좋을 경주, 아직도 채워져야 할 포항
경주는 매번 새롭게 가슴으로 밀려오는 한국 최고의 역사도시로서 세계인이 인정하는 곳이다. 그러한 경주가 해방이후에는 흐트러진 유산하나 챙기기 힘들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70년대초 정부주도의 국토개발..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89125
남겨져야 할 안동(安東), 국제화로 탈바꿈한 구미(龜尾)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상북도 북부지역은 소백산맥과 태백산맥으로 둘러싸여 있고 서남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의 상류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교통이 발달할 수 없었고 외부와의 교류가 활발치 못하..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87123
문화인의 권위가 기대되는 충주시, 사또의 문화가 남아있는 제천시
충청도 양반의 후예들이 충북문화를 지배하고 있다. 그래서 충북의 문화인들은 권위있는 문화인보다 권력있는 문화인이 많다고 한다. 이러한 중원지방의 대표적 도시인 충주시의 공원을 답사하기로 하였다. 그..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79113
조경분야에서의 사회교육 절실
금년도 조경학회 주최, 조경사회 후원으로 이루어진 제4회 "여름조경학교"는 부분적으로 아쉬운 점이 있으나 그 동안 3회에 걸쳐 이루어졌던 성과에 힘입어 어느 정도 안정적인 제도로 정착될 수 있었고 적극..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78112
1 2 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