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정재훈' 검색 결과 63 건
민가조원(造苑) -대전시, 충남지역
1. 아산 맹씨 행단(牙山孟氏杏壇) 2. 남간정사(南澗精舍) 5. 이도선(李導善)씨 가옥 ※ 키워드 : 정재훈, 한국조경, 전통조경, 민가, 대전, 충청남도, 아산맹씨행단, 남간정사, 이도선씨가옥 ※ 페이지..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751
하루살이 문화에서 탈피해야
내가 하는 일이란 시대마다 창조한 역사와 문화의 문물을 보존하고 가꾸는  일이다. 그러기에 문화사의 현장을 답사하는 일이 많다. 우리의 전통적 명원가운데 경주 안압지의 궁원은 동양화의 그림을 바..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91132
민가조원 ; 전라남도 편2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사평리 599번지에는 사애 민주현(1808~1983)의 별서인 임대정이 있다 원래 이 터는 고반 남언기(考槃 南彦紀)가 수륜대(垂綸臺)에 초려(草廬) 를 짓고 원림을 꾸며 고반원이라 한 곳이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1054
보길도 윤고산의 별서원
보길도는 전남 완도군 노화면 부용리에 있다. 완도항에서 배를 타고 한 시간쯤 남으로 내려가면 해남반도 남단의 아름다운 섬들이 그림같이 펼쳐지는데 노화도와 마주한 섬이 보길도이다. 섬 둘레가 60리쯤 되..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528
덕수궁
현재 석조전 후원 서북편 공간은 1980년대에 느티나무, 소나무 등으로 새롭게 조원한 공간이다. 그리고 동쪽의 대한문을 들어서면 문안 북쪽에 작은 연못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 연못은 원래 없었던 것으로 일..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541
문화재관리국 시절, 잊을 수 없는 아홉 개의 프로젝트
일련의 논의 끝에 우리나라 문화재관리사에 있어서 최초의 조경전문가로 조직된 전문위원회가 1983년 1월 25일 구성되기에 이르렀다. 한양대 오휘영 교수, 성균관대 김유일 교수, 서울대 김귀곤 교수, 경희대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20006146
몽촌토성
몽촌토성이란 백제의 성이름이 아니다. 고려시대에는 이곳을 고한강촌이라 하였다. 고려사 열정 조운걸 조에 보면 조운걸이 말년에 고원강촌에 살았다 하였다는데 동국여지승람에 조운걸이 몽촌에 살았다 하였..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6613
민가조원 ; 전라남도 편1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 후산부락에 명옥헌이 있다. 원래는 오희도가 광해군 치하의 어지러운 세상일을 개탄하며 집 옆에 망재라는 서재를 짓고 장계골의 자연을 벗하며 살았던 곳이다. 북향으로 배치..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953
석굴사원(石窟寺苑)
경주의 석굴암은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정상 동쪽에 있다. 석굴암은 송림과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토함산 정상 밑의 명당지(해발 565m)에 동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석굴암의 동서 양쪽은..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662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 마애불 사원
서쪽으로 8m정도 거리에는 높이 4m인 3층석탑(보물 제 301호)1기와 큰 탱자나무 1주가 서있다. 석탑서측은 대나무가 숲을 이루고, 기암절벽위에는 종가시나무와 동백나무가 어울려 장관을 이룬다. 반암의 남단..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561
고구려 왕궁의 원유
안학궁 터는 평양 대성산성 남쪽 산록 밑에 있다. 대성산성과 안학궁은 고구려가 427년 평양으로 천도하는 때의 도성유적으로서 이 대성산성과 안학궁터를 북한에서 발굴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국 집안에 있는..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943
민가조원, 경기도,충청북도편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1155
고려시대 이후의 사원1
-공주 마곡사 : 마곡사의 공간구성은 다른 사원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다. 사역의 가운데는 상원골에서 흘러온 희지천이 마곡사를 S자형으로 감싸고 동쪽으로 흐른다. 희지천에 의해 구획된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1268
서원의 조원
소수서원 _ 소수서원은 중종 37년(1542) 풍기군수였던 주세붕이 백운동에 안향의 사묘를 세웠다. 이듬해 매헌영정을 봉안하고 학사를 이건하여 백운동서원을 창건하였다.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사..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573
신라 왕궁의 원림
월성은 반달처럼 생긴 자연 구릉으로서 남에는 남천이 흐르고 서북에 접하여 계림이 있으며, 그 북에 첨성대가 있고, 또한 동쪽에는 동궁터와 안압지가 있다. 월성은 남북 약 260m, 동서 약 900m, 성 둘레가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742
1 2 3 4 5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