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장태현' 검색 결과 37 건
내일의 상해, 어제의 소, 항
상해의 경우 지난날에는 완전 타의(他意)에 의해 개방된 항구도시로서 우리의 근대사와 비교해서 “상하이”란 애칭의 추억으로 더듬어 보았으나 오늘날에는 중국인 자의(自意)에 의해 개혁되고 있는 변화의 기..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4371
변하고 있는 오늘의 북경
40년전에 “공산주의는 사랑이 아니고 오직 적들을 깨부수기 위산 해머다.”라고 모택동은 평했었지만 ‘89년 6.4사태때 인민 해방군은 그들의 적을 잘못 선택하였고 등소평은 옛날의 등소평이 아닌 라오핑(늙은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4169
실크로드를 다녀와서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31167
조경관련 신소재 개발실태를 재점검한다 ; 조경 기술개발 및 소재 필요성
설계가가 자기가 구성하는 어느공간 어떤 형태를 착상할 때에는 우선 어떠한 재료를 사용할까? 아울러 그 재료의 사용법 즉, 도구나 공구는 무엇을 사용하여야 하고 그에따라 공법선택 자체를 결정하게 된다.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창간 10주년 특별주제 한국조경분야의 어제와 오늘 ; 조경설계의 흐름과 ..
조경분야에 있어 1980년대에는 수요창출을 위한 기술축적 단계로서 올림픽을 전후한 조경문화의 정착과 조경영역의 확대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90년대에는 다가올 2000년대를 향한 도약시기로서 국제..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2751
도시경관과 색채 ; 도시의 색과 환경디자인
도시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고 질적향상을 지향하기 위한 시각적 환경요소는 시민을 매혹할 수 있는 수단이나 장치 또는 도구를 말하게 되는데 우리의 고민은 도시의 이러한 시각 구성 요소들의 전체구성과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2347
전국대학 학생조경작품 특선 ; 청주대학교
우리대학의 경우 조경작품전이 11월말로 예정되어 있어서 작품이 모두 출품되지 않은 관계로 전체 작품에 관한 평은 다음기회로 미루고 이번에는 선정된 작품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월악 캠프장’은 최..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87115
1 2 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