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이규목' 검색 결과 60 건
- 설계 익히기와 가르치기
- 나는 우선 건축이든 조경이든 설계의 실마리와 주제는 대지(site) 자체의 장소적 성격에서 나와야 한다고 본다. 이는 대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 대지가 속해 있는 지역의 모든 것이 포함된다. 자연적인 것..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9년6월134호
- 나의 길 나의 직업 _ 설계 익히기와 가르치기
- 한국종합조경공사가 박정희 대통령의 특별한 관심하에 탄생한 것(1974. 8. 1)은 정권 전성기인 유신시대였다. 육사8기출신의 최종성 사장의 창립인사말에도 있듯이 조경공사는“조경사업을 전담하는 유일한 단..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9년5월133호
- 나의 길 나의 직업 ; 설계 익히기와 가르치기
- 형(形) 만들기의 영원한 화두 -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
나의 대학 시절, 설계란 무엇이고 형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진 건축학도에게 있어 대학에서의 설계교육이란 부실..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9년4월132호
- IFLA ; 조경인이여 우리 모두 뭉칩시다
-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1,500명 규모의 거대한 총회를 치르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주택공사, 도로공사, 토지개발공사, 관광공사 그리고 서울시 경주시에 대하여 외곽에서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54호
- 92년 세계 조경가 대회와 우리의 조경문화
- 조경이라는 직업은 상호 존경을 바탕으로 결속하고, 인류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봉사정신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라고 되어 있어 존경과 봉사를 강조하고 있다. 최근 조경계에 만연하고 있는 설계비나 공사..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1년1월39호
- 한국의 유토피아
- 우리나라에서 나타난 유토피아적 발상의 근원을 살펴보고 그와 관련해 1500년대 이후에 형성되었다고 판단되는 5개의 유토피아(남조선, 오복동, 율도국, 무인공도, 비지지지)의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천사..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0년5월35호
- 한국의 유토피아
- 우리나라에는 청학동 뿐 아니라 예부터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 있어 이를 문학적으로 묘사했거나 실천을 꿈꾸는 사람들이 있었다. 유토피아에의 향수는 그 형식과 내용은 달라도 세계 어느 문화에도 나타나는 ..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0년3월34호
- 좌담 ; 조경디테일 현황진단
- 이규목 : 오늘 이 자리는 우리나라에서 설계·시공되고 있는 도시의 중심지역들 내지는 자주 만나는 도시의 외부 공간을 중심으로 상세의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파헤치고 개선점을 찾고자 마련했습니다.원운재 :..
이규목 교수, 김정수 실장, 안계동 과장, 안동만 교수, 원운재 부장/월간 환경과조경/1989년11월32호
- 좌담 ; 제 26차 마닐라 IFLA 대회를 다녀와서 ; 정리와 발전의 기회로 삼..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규목, 김귀곤, 김학범, 박원규, 원운재/월간 환경과조경/1989년7월30호
- 중국의 전통조경 ; 북경의 고대 도시경관
- 북경은 크게 두 개의 도시, 세분하면 4개의 도시로 구분된다. 본래 몽고인들이 만든성이 내성이고 그 외부에 황성이 있다. 내성과 외성은 주로 육중한 성벽과 성문이 두드러지고, 황성과 그 안의 자금성은 우..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88년11월26호
- 빌딩조경 ; 장식성과 장소성의 문제
- 오늘날 도시환경 속에 세워지는 건물은 하나 하나의 조형성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서 있는 주변환경과의 관계와 맥락이 더 깊이 인식되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조경도 그 자체로서의 장식성보다는 도시속의..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87년5월17호
- 한강의 가시경관
- 한강변 경관은 물리적 형태를 의미하는 물리적 실체일 뿐만 아니라 생활방식을 의미하는 기능적, 문화적, 역사적 실체이다. 따라서 한강변 경관개선의 주안점은 기존경관의 보존과 아울러 조작되어지는 경관을..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87년3월16호
- 서울시 한옥집단 지구의 보존대책에 관한 연구
- 최근 근대화, 도시계획, 도시재개발 등에 밀려 점점 줄어들고 있는 도시속의 역사적 유물들을 보존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종래 이것들은 문화재보호라는 차원에서 국보, 보물, 사적, 지방 유형문화재, 지..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84년6월6호
- 올림픽을 위한 조경 ; 올림픽을 전후한 서울시의 도시구조 개편(좌담회)
- 86 아시안 게임과 88 올림픽을 앞두고, ‘도시와 올림픽’이란 주제로 특집을 다루게 된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봅니다. 도시가 성장하고 마무리되려면 어떤 계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계기로 인해서 학..
강병기, 강홍빈, 오휘영, 이규목, 이동, 최상철/월간 환경과조경/1983년6월3호
- 한국인의 얼이 담긴 장소에 관한 고찰 ; 마당론
- 마당은 우리 민족 고유한 생활공간이다. 집 안팎으로 단단하고 평평하게 다져진 땅, 마당은 언제나 우리들을 너그럽고 넉넉하게 받아들이는 편안한 우리의 장소였다. 마당은 우리가 한 가족을 건사하기 위해 ..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82년7월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