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인숙' 검색 결과 61 건
「건설산업기본법」제정에 관한 조경분야 토론회
조경의 미래는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또 전문측과 종합측의 태도는 각각 어떠한 양상을 띨 것인가? 전국조경공사업협의회(회장 한현구), 한국조경사회(회장 유의열) 공동주최, (주)그룹21 (회장 이용..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9101
“나무 밑둥 자르는 식의 개발은 우리의 영원한 적” 환경해결사 차준엽씨
"20여년 가까이 펼쳐 온 환경운동의 90%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3년 투쟁 끝에 고층아파트 건립으로 베어질 운명에 처해 있는 북한산 기슭의 은행나무를 지켰는가 하면 우이령은 1년 8개월간의 싸움 끝에..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78112
대담 ; 도시환경 해결의 실마리는 조경에서 찾아야 -본지 발행인과 우리..
대담 _ 오휘영 본지 발행인일시 _ 1994년 11월 2일 오전 7시 30분장소 _ 파래스 호텔(서울)생활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건축가와 조경가의 공통점이지만 특히 조경은 건축분야와는 달리 외부공간에 대한 활용목..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181
조경현장은 나의 무대 - 식재의 귀재 강석권씨
“식재의 마술사 신내린 조경작품 제조기 조경현장의 연출자" 강석권 씨를 두고 주위에서 하는 말이다. 도면에 의한 설계를 원칙으로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5년 내지는 10년후의 모습을 이미 머리 속..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294
새로운 화훼소비문화 창출로 세계 속의 꽃 관광지로 부각
"국내 화훼산업의 중심지, 세계 속의 꽃 관광지로 발돋움하고 있는 고양시에서 꽃과 인간이 함께 어우러진 축제의 한마당이 펼쳐질 것입니다. 97년 고양 세계 꽃 박람회 개최 준비에 여념이 없는 신동영 고양..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8100
한국형 자연하천 공법 전국확대 가능
치수 이수 기능만을 생각한 획일적인 하천정비로 수질이 악화되는 등 좀처럼 아름다운 하천을 볼 수가 없었다. 그러나 죽은 양재천이 되살아나고 있는 것은 정말 신기할 정도이다. 과천 양재천이 되살아나기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710114
토종식물로 한국형풀 뿌리 문화 회생 한몫
우리것 되찾기 환경운동이 단지 우리의 것을 알리고 홍보하는 차원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홍보하는 차원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손쉽게 우리 자생식물을 가정으로 까지 끌어들일 수 있도록 우리식물 확대보급을..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597
두동강 날뻔한 우이령 녹색공간 지켜 _ 환경기자클럽서 1994 환경인상 선..
두동강이 날뻔한 북한산 국립공원이 민간단체의 자연보전에 대한 지극한 사랑으로 고스란히 보전돼 만인의 찬사와 갈채를 받았다. 지난 연말 자연환경인들에게 많은 화제를 뿌리면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자..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282
우리 민물고기 박물관 <수경개발>
자연을 느낄 기회가 적은 현대인에게 정지되어 있기 쉬운 공간에 지속적인 동적 변화를 주어 그 갈증을 해소해주고자 수경개발 현계림 사장은 지난 88년, 본격적으로 우리고기 연구에 몰입해 들어갔다. 물리..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496
풍요로운 황혼길 열어준 조경 든든한 후견인으로 남고 싶어 ; 최종성 한..
“종합예술로서 조경을 하고 있다는 자긍심과 긍지를 가지는 것 못지 않게 미래 주인공인 젊은 학도에게 꿈과 이상을 심어주는 학자의 역할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 해외석학들의 사상과 철학 그리고 지혜를 통..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77111
창간 13주년 특별대담 ; 사람과 자연이 함께사는 환경공동체 위한 21세기..
환경을 다루는 사람이라면 누구나가 사랑이 뒤따른 책임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역시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책임감을 갖고 모든 사물을 대하게 되었다는 것이 하나의 변화라면 변화일 수 있습니다. 그..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787
예리한 관찰력과 집념으로 식물개발에 산파역할
매년 신품종을 선보이고 있는 우리 자생식물은 얼마나 될까? nf시된 신품목들은 식물소재 시장에 어느정도 보급되고 잇으며 적재적소에서 활용되고 있을까? 최근 부각되고 있는 생태도시 조성, 생물다양성 확..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799
초록빛깔사람들
‘거제도 자연생태계 조사’, ‘거제도 자연환경보존 백서’, ‘거제가 지켜야 할 희귀식물’ 등등…. 얼핏 들으면 지방 중앙부서에서 연초에 세우고 있는 사업계획 같다. 결코 쉽지 않은 이러한 이들은 다름 아닌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395
대담 ; ‘숲 신체검사’, 1급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_ 박윤흔 전환경부장관 ..
우리나라 온대중부림의 생태적 천이발전 단계는 보통 소나무림, 참나무림, 서어나무림, 까치박달나무림으로 마지막 단계인 서어나무림과 까치박달나무림이 우점종인 숲을 극상림이라고 부른다. 숲이 파괴되어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282
식물 농사꾼의 이유있는 풀 키우기 ; 이영주 반월농장 원장
반월농장 이용주 원장은 80년대부터 미친듯 산과들을 쫓아다니며 카메라 앵글에 담아온 우리의 자생식물 사진정리에 한참 몰두해 있다. 언뜻보기에는 잡초꾸러미 같지만 이를 정리하는 그의 얼굴에서 구절초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1 2 3 4 5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