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찬주' 검색 결과 98 건
- 제약 많은 부지특성 살려 조각감상 길잡이 한몫 -통영 남망산 조각공원
- 위치 _ 경남 통영시 동호동 230-1 면적 _ 15,700㎡ 발주처 _ 통영시 설계 및 감리 _ 동인조경마당 시공 _ (주)동성종합건설 드넓은 청정해역과 마주하고 있는 경남 통영 남망산에 들어선 조각공원이 푸..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8년5월121호
- 좌담 ; 월간 <환경과 조경>의 과거 현재 미래
- 일시 : 1997년 6월 2일(월) 오후 2시 장소 : 본사 회의실 좌장 : 이재근(서울신문사 이사) 참석자(가나다순) : 박정수(범우사 편집국장), 서정우(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장), 안영애(현대엔지니어링(주) 도시계..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년7월111호
- 한국과의 식물자원 교류 중추역 맡아 결실 ; 천리포수목원 국제수목학회
- 천리포수목원측은 5월부터 천리포수목원 후원회를 조직해 다양한 계층의 관심과 지원을 유도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이번 행사를 통해 오는 6월 13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될 예정인 세계호랑가시학회(The Holly S..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8년1월122호
- 조경 관련분야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터_한국조경학회 유병림 신임회장
- 조경영역의 확충문제와도 무관하지 않겠지만 임기동안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하실 사업내용은 어떠한지요.
무엇보다도 조경학회 안살림보다는 대외적인 관계개선에 더욱 주력할 계획입니다. 이는 건축, 도시..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5년3월83호
- 테리코템 이용한 임해매립지 조경 세미나 열려 ; 한국테라코뎀 주최로 코..
- 테라코템이 처리된 지역주변이나 내부에 있는 테라코템의 결과물인 ‘미기후’는 그곳뿐 아니라 주위의 지역에서도 식물생장의 증진이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것은 토양이 더 높은 미생물적 활동, 더 나은 통풍,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년4월108호
- 대국민환경교육 프로그램으로 기업이미지 상승 ; 유한킴벌리
-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국제표준화기구가 정한 ISO 9001이나 ISO 14000의 취득등을 통해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환경친화적 경영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밖으로 드러나는 기업들의 노력에 비해..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년5월109호
- “생활속에 감각을 창출하는 조경, 예술로의 승화는 이용자의 몫” ; 오브..
- 90년 몸담고 있던 설계회사의 부도로 인해 자연스럽게 자신이 하고 있던 프로젝트를 떠맡은 이래 지금까지 ‘오프제프렌’이라는 조경계획, 설계 전문 업체를 이끌어가고 있는 문현주 소장. 그는 먼저 이렇게 말..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6년6월98호
- 우리꽃에서 자연을 배우자 ; 99 우리꽃 박람회
- 며느리밥풀꽃, 까마귀오줌통, 섬백리향, 하늘나리, 노루귀, 애기기린초. 듣기만 해도 앙증맞은 이것들은 이 땅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우리꽃의 이름이다. 우리꽃 특유의 아름다움과 자원화 필요성을 소개..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년6월134호
- “21세기 도시경쟁력은 녹지가 좌우” -문희갑 대구광역시장
- 지난 5월 25일 대구가 ‘국제섬유패션도시’임을 세계만방에 선포한 이래 경쟁력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문희갑(62) 대구시장의 환경 및 공원녹지 관련 행정에 가속도가 붙었다. 국제섬유패션도시에 걸맞게 도..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년7월135호
- 비극현장이 한강명물로 등장 ; 야간의 성수대교, 나트륨 조명 돋보여
- 차량의 불빛만이 꼬리를 물고 있는 단조로운 한강교량에도 새로운 볼거리가 생겼다. 성수대교가 최근 한강다리 중 최초로 야간조명시설이 설치되어 새단장됐기 때문이다. 이번 성수대교 새단장 사업은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년9월113호
- “준법정신과 환경보전은 불가분의 관계” ; 재독사업가 지철규 박사
- “환경운동가나 환경보호론자는 따로 있을 수가 없습니다. 지구덩이를 자기집 안방으로 생각하고 하늘을 자기집 안방의 천정으로 생각 한다면 누구나 환경보존 실천가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지난 1월말 한국..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7년4월108호
- “건축은 문화다”라는 인식의 확산에 주력 ; 이광노 99 건축문화의 해 조..
- 삶의 터전, 문학의 바탕‘이란 슬로건 아래 20세기를 마감하는 올해 문화관광부가 선정한 99 선축문화의 해가 출범했다. 바로 지금이 “문화예술의 한 분야로서의 건축’이라는 본연의 위상을 찾을 시점이다. 기..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년2월130호
- 식생기반 구축으로 법면지지력 높여 - Recultex 암절개지 보호녹화공법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5년4월84호
- 서울색깔 바뀌기 시민녹화운동 막올라 (서울시 생명의 나무 1000만 그루 ..
- 2002년까지 4년간 서울의 색깔을 바꿔놓을 1000만 서울시민과 함께 하는 생명의 나무 1000만 그루 나무심기 사업의 막이 올랐다. 서울시는 10월 20일 100만그루(교목 300만그루, 관목 700만그루) 나무심기 선..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8년12월128호
- 광화문 시민열린마당 오픈 ; 상징적 도심 시민 휴식공간
- 10월 28일 서울시민의 날을 기념해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이 문을 열었다.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은 국민참여에 의한 열린마당을 조성하여 역사도시 서울을 부각시키고 주변 관광문화벨트와 연계시켜 명소화..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8년11월12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