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정재훈' 검색 결과 63 건
- 마애불 사원
- 마애불은 자연의 암벽이나 언덕, 동굴 등에 조각한 불상조각을 말하는 것으로 죽림정사나 기원정사와 함께 불교사원의 효시가 된다.
- 서산 마애삼존불
충청남도 서산군 운산면 용현리 2의 40번지에 있다.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년4월60호
- 민가조원 - 강원도편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년6월50호
- 종묘
-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린 종묘 중건은 불탄지 10여년이 지난 선조 37년(1604)부터 논의되어 불길한 해라 하여 선조 41년(1608) 1월에 중건공사를 시작, 5개월만인 광해군 원년 5월에 완공되었다. 이때 종묘정전..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년5월41호
- 민가조원 ; 경북편
- 안동 고성이씨 종택, 금릉 방초정, 봉화 도암정, 청도 운강고택, 경주 종오정, 예천 초간정, 의성 소우당, 금릉 허석 정사 ※ 키워드: 조원 ※ 페이지 : p68-75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년3월47호
- 조선의 궁원
- 조선왕궁이 위치한 서울의 지세는 북쪽의 북악(北岳)을 주산(主山)으로 하고 왼쪽에 청룡인 낙산(駱山), 오른쪽에 백호인 인왕산(仁旺山)과 남쪽에 안산(案山)인 남산(南山)을 두고 명당수(明堂水)인 청계천(..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7년1월15호
- 일제잔재 청산과 문화재조경 바로세우기
- 새끼시인에서 문화재관리국 직원으로 1950년대 후반 진주사범학교를 다닐 때만 해도 필자는 문학을 지망하는 새끼 시인이었다. 재학시 때때로 교지에 시를 발표하기도 했고 역사의식에 대한 책들을 탐독하기도..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2000년4월144호
- 민가조원 - 하회마을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년11월44호
- 신라 동궁의 원유인 안압지
- 경주 안압지에 대해서는 문화재관리국에서 1973년부터 1975년까지 3년에 걸쳐 학술적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발굴조사 보고서 ‘안압지’가 간행되었다. 이 안압지는 통일신라(7세기~10세기)기대의 유적으로 고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0년11월38호
- 고분의 원림2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5년3월83호
- 누원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0월78호
- 고분의 원림1
- 고분은 지하박물관과 같이 그 시대의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장례에는 여러 가지 관습이 있다. 땅 속에 묻는 토장, 불에 태우는 화장, 물에 넣는 수장, 그냥 땅 위에 놓아 썩게사는 풍장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5년2월82호
- 고분의 원림3
-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에 있다. 동구릉은 59만여 평의 광대한 자연수림속의 길지에, 조선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한 9릉 17위의 왕과 왕비릉이 자리잡고 있다. 이 자리를 잡은 사람은 이름난..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5년4월84호
- 금강산 ; 문화유산과 천연기념물
- 금강산은 불교사상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금강산이란 산 이름에서 부터 비로봉 관음봉등 산봉우리의 이름에 까지 그리고 수많은 사찰과 석불등에서 그를 입증하고 있다, 그런데 북한은 이러한 불교유적에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9년5월29호
- 민가조원
- e-매거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월45호
- 구 조선총독부 건물철거와 경복궁 복원의 문화사적 의의
- 경복궁은 서울의 중심축인 조작대로의 얼굴이다. 그러기에 경복궁은 서울의 얼굴이다. 서울의 얼굴은 우리민족 문화의 얼굴이며 장차 통일 한국의 얼굴이 된다. 총독부 건물이 철거되면 서울의 주작대로에 서..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5년10월9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