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정재훈' 검색 결과 63 건
- 신라 왕궁의 원림
- 월성은 반달처럼 생긴 자연 구릉으로서 남에는 남천이 흐르고 서북에 접하여 계림이 있으며, 그 북에 첨성대가 있고, 또한 동쪽에는 동궁터와 안압지가 있다. 월성은 남북 약 260m, 동서 약 900m, 성 둘레가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년7월42호
- 종묘
-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린 종묘 중건은 불탄지 10여년이 지난 선조 37년(1604)부터 논의되어 불길한 해라 하여 선조 41년(1608) 1월에 중건공사를 시작, 5개월만인 광해군 원년 5월에 완공되었다. 이때 종묘정전..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년5월41호
- 덕수궁
- 현재 석조전 후원 서북편 공간은 1980년대에 느티나무, 소나무 등으로 새롭게 조원한 공간이다. 그리고 동쪽의 대한문을 들어서면 문안 북쪽에 작은 연못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 연못은 원래 없었던 것으로 일..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년5월41호
- 창경궁의 원유
- 창경궁의 원은 북쪽의 근농장이 있던 추원(현재 춘당지 지역)과 어구가 있는 계류주변, 정전의 남쪽 외조 공간, 동궐도 그림에서 보이는 문정전 서남쪽의 계원, 궁궐지에 보이는 청음정 동쪽에 있던 추경원,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년3월40호
- 긴급좌담 ; 평양조경 현황을 진단한다. ; 전통성이 말살된 우상화 조경의..
- 오휘영 - 92년 IFLA 한국총회는 우리 조경 분야의 새로운 도약과 국제적 지위향상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조경의 올림픽 행사입니다. 따라서 다가올 92년에 북한의 조경학자들이 한국 IFLA행사에 참여하여 남·북..
민경현, 정재훈, 허창률, 황기원, 오휘영/월간 환경과조경/1991년3월40호
- 경복궁의 원유
- 경복궁은 조선의 정궁이다 조선의 태조는 1392년 7월 7일 개성의 수창국에서 즉위한 후 수도를 옮기기로 결정하였고 이후 1394년 10월 한양으로 도읍을 옮겨 왕궁을 창건하기 시작하여 그해 12월 3일 황천후토..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년1월39호
- 신라 동궁의 원유인 안압지
- 경주 안압지에 대해서는 문화재관리국에서 1973년부터 1975년까지 3년에 걸쳐 학술적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발굴조사 보고서 ‘안압지’가 간행되었다. 이 안압지는 통일신라(7세기~10세기)기대의 유적으로 고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0년11월38호
- 창덕궁의 비원2
- 비원의 원림속에는 인간의 자연화와 인간화를 추구한 아름다움이 있으며 원림, 건물과 연소, 괴석, 담장, 석교, 계간, 폭포, 천정, 암석, 기구, 보도가 지세에 따라 적절히 융합되어 계곡마다 다은 경관과 기..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0년9월37호
- 창덕궁의 비원1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0년7월36호
- 그림으로 본 옥호정
- 옥호정은 조선왕조 제23대 왕인 순조(順租)의 자인이 되는 김조순(1765~1831)의 집이다. 이 옥호정도는 조선시대 사대부 민가의 높은 격조를 보여주는 구성과 기법을 가지고 있다. 옥호산방의 이 민가조원은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0년5월35호
- 하루살이 문화에서 탈피해야
- 내가 하는 일이란 시대마다 창조한 역사와 문화의 문물을 보존하고 가꾸는 일이다. 그러기에 문화사의 현장을 답사하는 일이 많다. 우리의 전통적 명원가운데 경주 안압지의 궁원은 동양화의 그림을 바..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9년11월32호
- 금강산 ; 문화유산과 천연기념물
- 금강산은 불교사상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금강산이란 산 이름에서 부터 비로봉 관음봉등 산봉우리의 이름에 까지 그리고 수많은 사찰과 석불등에서 그를 입증하고 있다, 그런데 북한은 이러한 불교유적에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9년5월29호
- 청평사 사원
- 청평사는 강원도 춘성군 북산면 천평리 청평산에 있다. 춘천 소양호의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10분쯤 가면 청평사 계곡 입구의 선착장에 도착한다. 선착장에서 800m쯤 계류를 따라 계곡을 오르면 산사의 山門같..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7년9월19호
- 조선의 궁원
- 조선왕궁이 위치한 서울의 지세는 북쪽의 북악(北岳)을 주산(主山)으로 하고 왼쪽에 청룡인 낙산(駱山), 오른쪽에 백호인 인왕산(仁旺山)과 남쪽에 안산(案山)인 남산(南山)을 두고 명당수(明堂水)인 청계천(..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7년1월15호
- 몽촌토성
- 몽촌토성이란 백제의 성이름이 아니다. 고려시대에는 이곳을 고한강촌이라 하였다. 고려사 열정 조운걸 조에 보면 조운걸이 말년에 고원강촌에 살았다 하였다는데 동국여지승람에 조운걸이 몽촌에 살았다 하였..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86년6월1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