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편집부' 검색 결과 529 건
- 이 회사들이 사는 법 ; 100분 토론 “조경가로 산다..
- 주최 : (사)한국조경학회 조경설계연구회, 월간 환경과조경일시 : 2005년 12월 6일(화) 오후 7~9시장소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82동 103호사회 : 배정한(단국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조교수)토론 :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6년1월213호
- 제4회 실내조경 디자인 대전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6년1월213호
- 제5회 생태조경 · 녹화대상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12월212호
- 제2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 (사)한국조경학회와 (재)늘푸른이 주최하고,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 운영위원회가 주관한 제2회 대한민국 환경조경대전의 공모전이 “다이나믹 랜드스케이프(Dynamic Landscapes): 역동하는 경관, 생..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12월212호
- 제3회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 농촌진흥청, 농업기반공사, 한국농촌계획학회는 농촌 공간에 존재하는 어메니티 자원의 효율적인 보전과 잠재된 부가가치를 개발하고, 농촌특유의 쾌적성을 표현하는 공간설계 및 계획기술을 증진시..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12월212호
- 청계천 복원 ; 청계천 속으로_1공구
- 태평로 입구 청계천 복원 시점부 청계마당에서 모전교, 광통교, 광교, 장통교, 삼일교, 수표교, 관수교, 세운교, 배오개다리가 있는 예지동까지의 2.0km 구간으로 도시형 하천, 역사와 문화가 있는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10월210호
- 청계천 복원 ; 청계천 속으로_3공구
- 청계8가 황학교부터 마장동 신답철교까지의 1.74km 구간이며 자연형 하천의 모습을 담아낸 청계천의 하류부이다. 생명력 넘치는 자연하천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생태계를 복원하고 환경친화적으로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10월210호
- 청계천 복원 ; 청계천 속으로_2공구
- 종로구 예지동(광장시장)에서부터 숭인동(청계8가) 일대 새벽다리부터 영도교까지의 2.1km 구간이며 청계천 주변 시장의 경관을 담은 이야기가 있는 구간이다. 도시형 하천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1..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10월210호
- 서울숲 ; 서울숲을 바라보다_한강수변공원
- 뚝섬지구와 주변 한강공원지구를 연결하는 지점으로, 근린 주민들의 산책로로서 이용도가 높으며, 응봉산과 한강의 양호한 경관, 중랑천 하류부의 조류 관찰이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 한강수..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9월209호
- 서울숲 ; 서울숲을 바라보다_체험학습원
- 우리나라 최초의 정수장인 뚝도 정수장이 위치한 곳으로, 강북정수장의 신설에 따라 2003년 제1공장 시설이 폐쇄 되었다. 정수장의 기존 구조물을 최대한 재활용하여 독특한 체험학습 공간으로 조성..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9월209호
- 서울숲 ; 서울숲을 바라보다_습지생태원
- 뚝도 유수지로서 홍수시 한강범람에 따른 수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수량 입출조절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유수지로서의 기존지형을 활용하고, 중랑천과의 통로인 입지를 고려하여 생태적 학습·휴게 공..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9월209호
- 서울숲 ; 서울숲을 바라보다_뚝섬 문화예술공원
- 기존 경마장이 자리하던 장소로서 여러 계층의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레크레이션 테마공간으로 조성하였다. 사람의 이용 측면을 가장 적극적으로 고려한 서울숲의 중심 공간이다. △ 거울연못. 검은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9월209호
- 서울숲 ; 좌담회 : 서울숲이 남긴 것, 21세기 도시공원의 과제는?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9월209호
- 서울숲 ; 서울숲을 바라보다_뚝섬 생태숲
- 이곳은 중랑천의 합류지점으로 퇴적물이 형성되어 있던 장소로 예부터 ‘저자도’라 불리었다. 강남 개발과 동시에 폐천 부지로 남게 되었던 이곳을, 한강과 중랑천을 연계하여 야생동물이 서식할 수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9월209호
- K237 주거환경개량사업: 충격과 당혹의 도큐멘트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5월20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