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영민' 검색 결과 21 건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 (3) 분석만 하기
대상지, 그 진부함또 대상지에 대한 이야기인가? 미안하지만 이제 대상지 이야기는 그만 들어도 될 것 같다. 학교를 다니는 내내 대상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지겹도록 들어왔다. 선생님들은 늘 말..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43311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 (2) 말로 때우기
개념과 형태의 경계에서여기 곤란에 처한 두 학생이 있다. 그림을 꽤 잘 그리는 박군은 설계 과제를 하면서 다른 친구들처럼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트레이싱지 위에 선을 ..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42310
버려진 땅, 로어 돈 랜드 설계공모전
폐기물(Dross) 20세기 초 인구 백만 이상의 도시는 전 세계에 16개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100년도 되지 않아 인구가 백만이 넘는 도시는 500개를 넘어섰으며 현재도 도시화는 가속화되고 있다. 오..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095253
거대 공원, 셸비 팜스 공모전
Master Plan Design Competition for Shelby Farms Park 시작하며 설계의 ‘이즘(ism)’이란 한 개념의 죽음을 고하는 종결적 낙인이다.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고착화될 때 그 생명력을 상실하여 박..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093251
스튜디오 201, 설계를 다시 생각하다 (1) 개념 상실..
개념 없는 설계좋은 개념이 좋은 설계의 조건이 될 수는 있지만, 좋은 설계가 꼭 개념에 의존할 필요는 없다. 이번에 소개하는 작품은 미국 세인트루이스(Saint Louis) 시의 한 수변 공간을 개..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41309
좋은 공원, 준 콜우드 파크 설계공모(June Callwood..
준 콜우드(June Callwood) 준 콜우드는 자신을 기념하는 공원이 어떠한 공원이 되었으면 좋겠냐는 질문에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공원이었으면 좋겠다고 대답했다. 2007년 82세의 나이..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099257
창간 20주년 기념 조경비평 공모전 가작 - 장소의 ..
- 탑골 공원에 대한 비평 - 실어증 (Aphasia) 서울은 실어증에 걸렸다. 이 거대하고 역동적인 도시는 오랜 세월동안 수많은 기억들을 간직해왔지만 더 이상 우리에게 그 이야기를 해주지 않는다..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027171
Nya Arstafaltet Architecture Competition
모더니즘의 경관“…스톡홀름 시는 니야 아라스타팔테트(Nya Arstafaltet)에 새로운 주거지와 1950년대에 스톡홀름을 세계적인 도시로 만든 고전적인 공원 조경의 전통을 이어받을 세계적인 수준의 새..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03263
찰스 왈드하임, 하버드 GSD
2009년 가을 학기부터 하버드 디자인대학원 조경학과에는 새로운 학과장이 임명되었다. GSD의 교수진도 아니었으며 그렇다고 저명한 디자이너도 아닌, 더군다나 건축 교육을 받았으며 건축가로서 실..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0911259
도시기반시설, 그 새로운 가능성: WPA 2.0 공모전
The New Possibilities of Urban  Infrastructure: WPA 2.0레비아탄(Leviathan)콜린 로우(Colin Rowe)는 그의 저서『선한 의도의 건축(The Architecture of Good Intentions)』에서 모더니즘은..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05265
유토피아를 향한 꿈, 오렌지 그리고 그레이트 파크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그리고 그레이트 파크 로스앤젤레스는 서브어반 도시의 진화 모델의 한 극단이다. 로스앤젤레스의 거대함은 초현실적이라고 밖에 표현할 길이 없다. 비행기에서 내려다본 이 ..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097255
우리 시대의 명작을 재구성하며, 도시+아치+강 2015..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타뷸라 라사와 팔렘세스트의 논쟁. 즉 대상지에 대한 태도의 논쟁은 근대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다. 그 논쟁에서 타뷸라 라사는 과거를 무시한 현대 문명의 오만..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11273
다음 세대: 미니애폴리스 리버프론트 공모전(2)
The Next Generation: Minneapolis Riverfront Competition(2)1996년 피터 워커의 문제 의식은 미국이라는 지역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정원들도 미국 조경의 문제였다. 물론 이..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110282
이식된 근대의 진화, 서구룡 문화 지구 공모전
West Kowloon Cultural District Competition이식된 근대(Implanted Modernity)도시는 문명의 필연적인 부산물이다. 인류의 문명과 함께 시작된 도시의 진화는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례없이 빠르게..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13275
우리 시대의 명작을 재구성하며, 도시+아치+강 2015..
Framing a Modern Masterpiece, The City + The Arch + The River 2015타뷸라 라사(Tabula Rasa)와 팔렘세스트(Palimpsest)대지를 다루는 디자인은 항상 타뷸라 라사와 팔렘세스트의 문제에 직면할 ..
김영민/월간 환경과조경/201011271
1 2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