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찬주' 검색 결과 98 건
야외예식장 조성으로 조경공간 대중과 호흡기대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1078
우리나라 자생수종 개발의 장
한국도로공사 전주묘포장 안에 자리잡은 전주수목원(원장 이강창)은 주로 고속도로 조경에 쓰일 나무를 생산하는 10만여평 규모의 한국도로공사 묘포장 부지내에 4ha(1만2천평)를 수목원으로 별도 조성한 것으..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775
사당역 수경공원
 사당역 수경공원은 관악구 남현동 1060-1 사당역에서 남서쪽 방향에 있는 590㎡의 녹지에 만들어진 것이다. 본래 이 수경공원의 계획목적은 지하철 역내에서 하수도로 배출되는 지하수를 이용하여 수경..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763
선친의 자연사랑, 후대에 이어져 ; 성락원 지키는 심완, 심호 형제
성락원은 조선 철종(재위 1849~1863)때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심상응(沈相應)이 살던 별장이었다. 그러나 한때 이강(李綱1877~1955)공이 35년간 살아 별궁(別宮)으로 사용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조경용어 개명을 재조명해본다-서울시, 100개 단어 선정…이구이성 우려-
서울시가 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 투성이인 조경용어 순화에 직접 나섰다. 서울시는 지난 1월 6일 공원·녹지 관련부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려운 조경용어 1백개를 선정, 한국조경학회 등 전문가의 자문을 거..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371
조경관련업체 직원교육 한창
동절기를 맞이하여 조경관련 업체에서 직원연수교육이 한창이다. 이렇게 각 업체에서 조경교육이 한창인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여기에는 동절기에 각종 현장공사가 한가한 틈을 타서 직원들의 내실을 기..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371
성균관대 부속식물원
약 10만여평의 부지에 조성된 이 성대 식물원의 가장 큰 특징중의 하나는 바로 조경재로의 전시장이라는 점이다. 성대 식물원은 황금개나리외 3백50여종의 수목을 구비하고 있다. 기존의 식물원은 식물분류학..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1066
목아불교 박물관
위치_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이호1리 경기도 여주에 위치한 목아불교 박물관, 목아 박찬수 선생은 불교 및 전통목공예의 제작과정과 기법을 전승시키고자 1989년 2월 박물관 건립에 들어갔다. 과거 그는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조경과 건축이 상호보완적 관계일 때에만이 쾌적한 도시환경 가능_ 최영..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에 세워진 탑스튜디오는 비록 규모는 작지만 도시로 향해 미소짓는 창, 거리를 향해 열려있는 정면 발코니, 작은 마당에 놓인 조형물 등이 어우러져 도시 가로건축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573
도시녹지에 새바람, (주)고린 잔디타일 개발
잔디타일은 이끼와 나무섬유, 폐지, 그리고 경량토양인 펄라이트에 접착제와 비료를 섞어만든 것. 흙을 사용하지 않아 병충해가 없으며 실내를 끼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폐지를 사용하므..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군산 나운 어린이공원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1167
“조경이란 도시와 인간 그리고 자연의 조화” - 나기정 청주시장
「조경이란 자연과 인간, 도시건축물과의 조화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금 청주를 비롯한 각 도시환경구조 속에서 조경은 악세사리에 불과합니다. 앞으로는 도시구조와 문화사업을 추진 할 때 조경관계인도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실무에 대해 준비하는 실질적 계기 됐어요-여름조경학교 수료한 이승환군
이군은 설계수업때 팀을 구성하여 부지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조망해 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 키워드: 이승환 ※ 페이지 : 93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977
첫 생태통로 개설 - 야생동물 이동통로, 에코브리지 완공 -
최근 도로건설 등으로 단절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생태이동통로가 그 모습을 드러냈다. 환경부는 지난해 지리산에 착공한 야생동물 이동통로를 10월말 완공한 것에 이어 경기도는 12월 18일 개통한 고색∼..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1129
대전엑스포 현장에 우리꽃 활짝 -한국자생식물협회 김창렬 회장-
대전엑스포 현장에 우리 고유의 자생식물들이 많이 심겨져 우리 국민의 자부심이 됨은 물론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에게도 큰 자랑이 되고 있다. 여기에 한국자생식물협회(회장 김창렬)도 일조를 해 엑스포현..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1 2 3 4 5 6 7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