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찬주' 검색 결과 98 건
- 야외예식장 조성으로 조경공간 대중과 호흡기대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0월78호
- 우리나라 자생수종 개발의 장
- 한국도로공사 전주묘포장 안에 자리잡은 전주수목원(원장 이강창)은 주로 고속도로 조경에 쓰일 나무를 생산하는 10만여평 규모의 한국도로공사 묘포장 부지내에 4ha(1만2천평)를 수목원으로 별도 조성한 것으..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7월75호
- 사당역 수경공원
- 사당역 수경공원은 관악구 남현동 1060-1 사당역에서 남서쪽 방향에 있는 590㎡의 녹지에 만들어진 것이다. 본래 이 수경공원의 계획목적은 지하철 역내에서 하수도로 배출되는 지하수를 이용하여 수경..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년7월63호
- 선친의 자연사랑, 후대에 이어져 ; 성락원 지키는 심완, 심호 형제
- 성락원은 조선 철종(재위 1849~1863)때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심상응(沈相應)이 살던 별장이었다. 그러나 한때 이강(李綱1877~1955)공이 35년간 살아 별궁(別宮)으로 사용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2월70호
- 조경용어 개명을 재조명해본다-서울시, 100개 단어 선정…이구이성 우려-
- 서울시가 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 투성이인 조경용어 순화에 직접 나섰다. 서울시는 지난 1월 6일 공원·녹지 관련부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려운 조경용어 1백개를 선정, 한국조경학회 등 전문가의 자문을 거..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3월71호
- 조경관련업체 직원교육 한창
- 동절기를 맞이하여 조경관련 업체에서 직원연수교육이 한창이다. 이렇게 각 업체에서 조경교육이 한창인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여기에는 동절기에 각종 현장공사가 한가한 틈을 타서 직원들의 내실을 기..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3월71호
- 성균관대 부속식물원
- 약 10만여평의 부지에 조성된 이 성대 식물원의 가장 큰 특징중의 하나는 바로 조경재로의 전시장이라는 점이다. 성대 식물원은 황금개나리외 3백50여종의 수목을 구비하고 있다.
기존의 식물원은 식물분류학..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0월66호
- 목아불교 박물관
- 위치_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이호1리 경기도 여주에 위치한 목아불교 박물관, 목아 박찬수 선생은 불교 및 전통목공예의 제작과정과 기법을 전승시키고자 1989년 2월 박물관 건립에 들어갔다. 과거 그는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2월70호
- 조경과 건축이 상호보완적 관계일 때에만이 쾌적한 도시환경 가능_ 최영..
-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에 세워진 탑스튜디오는 비록 규모는 작지만 도시로 향해 미소짓는 창, 거리를 향해 열려있는 정면 발코니, 작은 마당에 놓인 조형물 등이 어우러져 도시 가로건축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5월73호
- 도시녹지에 새바람, (주)고린 잔디타일 개발
- 잔디타일은 이끼와 나무섬유, 폐지, 그리고 경량토양인 펄라이트에 접착제와 비료를 섞어만든 것. 흙을 사용하지 않아 병충해가 없으며 실내를 끼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폐지를 사용하므..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8월76호
- 군산 나운 어린이공원
-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1월67호
- “조경이란 도시와 인간 그리고 자연의 조화” - 나기정 청주시장
- 「조경이란 자연과 인간, 도시건축물과의 조화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금 청주를 비롯한 각 도시환경구조 속에서 조경은 악세사리에 불과합니다. 앞으로는 도시구조와 문화사업을 추진 할 때 조경관계인도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2월70호
- 실무에 대해 준비하는 실질적 계기 됐어요-여름조경학교 수료한 이승환군
- 이군은 설계수업때 팀을 구성하여 부지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조망해 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 키워드: 이승환
※ 페이지 : 93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4년9월77호
- 첫 생태통로 개설 - 야생동물 이동통로, 에코브리지 완공 -
- 최근 도로건설 등으로 단절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생태이동통로가 그 모습을 드러냈다.
환경부는 지난해 지리산에 착공한 야생동물 이동통로를 10월말 완공한 것에 이어 경기도는 12월 18일 개통한 고색∼..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월129호
- 대전엑스포 현장에 우리꽃 활짝 -한국자생식물협회 김창렬 회장-
- 대전엑스포 현장에 우리 고유의 자생식물들이 많이 심겨져 우리 국민의 자부심이 됨은 물론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에게도 큰 자랑이 되고 있다. 여기에 한국자생식물협회(회장 김창렬)도 일조를 해 엑스포현..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3년9월6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