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장태현' 검색 결과 37 건
북경 옥천 공원(玉泉公園)
계획의 배경2002년 북경시 "만미녹지"(万米綠地 년 일만㎡씩 녹지 확보 시민운동으로, 녹지와 녹지와의 연결 기능을 목적으로 함) 사업에서 완성한 제일 큰 도시 공원이다. 면적은 약 220000㎡로서 ..
류수진, 장태현, 김선/월간 환경과조경/20037183
중국 산수화의 경전
- 계림의 리강, 곤명의 석림, 장가계의 무릉원 - 중국인들은 역사적으로 자기중심적 사고, 또는 과시적 기대표현을 즐겨 사용하여 왔다. 흔히 이야기되는 중화사상(中華思想)으로 "세계적", "중..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36182
중국의 도시광장Ⅲ - 상하이(上海市)의 인민광장(人民廣場)과 외탄광장(外..
지난 여름 중국을 다녀오면서 하루가 다르게 변화·발전하고 있는 그들의 도시 모습에 무엇인가 초조함을 저버릴 수 없었다. 몇년전부터 중국의 변모상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인식들은 하고 있었지만 그동안 게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21165
중국의 도시광장 2-­북경시(北京市)의 서단광장(西..
도시의 광장하면 유럽의 도시를 연상할 정도로 유럽의 도시에는 크고 작은 광장들이 많다. 특히 이태리나 스페인의 경우, 도시의 구성이 광장으로 이어지듯 오늘날까지도 도시생활의 필수적 요소로..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11163
중국의 도시광장Ⅰ- 대련시(大連市)의 인민(人民), ..
몇 년 전인가 지방 중소도시의 여러 공원들을 둘러본 일이 있었다. 많은 것들을 다시 생각하게되는 계기도 되었지만 그중 새삼스러웠던 것은, 도시의 입지적 여건이나 역사적 배경 그리고 변화의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9161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4)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4) - 발해여 다시 한번 - 연변(延邊)지역의 발해 유적들 현재의 연변지역은 발해국(渤海國)이 건립되기 이전에는 고구려에 부속된 백산 말갈인(白山 靺鞨人)이 살던 곳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7159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 (3)
발해가 남긴 것들 - 도시와 생활상 - 2000년 6월말 연길시(延吉市) 정부에서의 용역업무도 정리되어 가자 마지막으로 화룡(和龍) 근처의 발해유적을 찾기로 하였다. 이곳을 찾다보면 모아산(帽兒山)고개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5157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2) - 발해의 터전들
박혔던 돌이 굴러온 돌에 치이다니 2000년 5월 연길에 다시 도착하니 봄색이 완연하였다. 지난겨울 지내기가 불편하여 잠시 귀국하였었는데 다행히도 도시를 메웠던 매연가스도 사라져 버린 후였다. 그 길..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3155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1) - 발해에 대한 해석
벌써 6년이나 흘렀을까? 1994년 그 해 여름 압록강변의 집안(集安)시를 찾은 일이 있었다. 통화(通化)에서 5시간 넘게 흔들리면서 통구하(通溝河)를 굽이치다 대우산(大禹山), 의룡산(依龍山), 칠성산(七星山)..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1153
중국과의 설계용역 가능성
1990년도 당시에는 조경연합회에서 추진하던 세계 조경가대회(I.F.L.A)에 중국과 북한을 초청하려던 목적이 있었고, 이어서 1993년도에 제공되었던「백두산 총체개발계획」역시 우리 조경계의 중국진출이란 가..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11151
두만강변 7백리 길을 다녀와서 ; 변치않는 습관과 변할 수 없는 운명들
1999년 11월 26일 20세기의 마지막 해가 기울어 가기 시작하자 둥지를 찾아야겠다는 생각이 절실해졌다. 편할 수 없는 이국(異國)에서의 객지 생활보다도 짧은 기간 동안이나마 의식과 환경의 차이를 극복하..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5145
두만강변 7백리를 다녀와서 ; 강변사람들의 잊혀졌던 모습들
 9월 7일. 연길에 여장을 풀 겨를도 없이 다음날부터 답사는 시작되었다. 그런데 안내를 하겠다는 젊은이가 별난 친구였다. 북경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임산가공 분야에서 뚜렷한 직장도 갖고 있던 그는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두만강변 7백리길을 다녀와서 ; 조선족 이주정착의 배경
 지난 1999년 9월 1일부터 1년간 해외 파견교수로 임명을 받은 나는 13회에 걸쳐 답사해 보았던 중국 일대를 다시 찾아보기로 하였다. 그동안 주마간산격으로 변방문화권의 이구석과 저구석을 헤집기만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3143
‘한 지붕 두 가족’의 성남시
이렇게 성남지역은 지리적 자연환경이나 역사적 여건을 살펴볼 때 자생적 도시발전이 아니었고, 국가 의지에 의해 버려지고, 선택된 위성도시로 위장되어 다시 태어난 것이다. 그러자니 20여 년의 시간차이를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젊음의 도시 부천, 회춘(回春)의 도시 의정부
그동안 몇 회에 걸쳐 여러 중소도시들을 답사하면서 느낀 것 중의 한가지는 그 도시의 위치조건과 제반 여건을 감안한다면 도시의 살림살이가 들여다 보인다는 것이다. 또한 공원을 거닐다 보면 사는 사람들의..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95133
1 2 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