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전승훈' 검색 결과 7 건
자작나무
풍성했던 결실과 수확을 거쳐 화려한 자태로 온 산하를 물들게 했던 나무들은 새로운 시작을 위한 휴식의 시간을 갖는다. 하지만, 나무의 세계가 우리 인간에게 주는 가치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200012152
복자기
복자기 (나도박달)는 단풍나무과에 속하고 다 자라면 수고가 약 10~15m에 이르며 황갈색 수피를 가진 낙엽활엽교목이다. 다른 단풍나무 수종과 달리 잎이 3장 씩 달리고 잎자루가 붉은 색이며, 가장..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200010150
자귀나무
한여름의 무더위에 심신이 지쳐있을 때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활기와 희망을 주는 나무가 있으니 바로 자귀나무이다. 정갈하면서도 기품이 있고 소담하나 넉넉한 풍채에서 멋과 여유를 함께 지닌 여름 ..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20008148
때죽나무
때죽나무는 생태지리적으로 우리나라 중부, 남부(제주도 포함)지방에 걸쳐 인가근처의 저지대에서 해발 1000미터 부근까지 자라며, 계곡부의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부터 능선사면이나 산불이 난 곳의 척박하고 ..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20006146
개벚지나무
학명 Prunus macckii Ruprecht, 과명 장미과. 머지않아 우리 주변을 화려하게 수놓을 벚나무류(Prunus)는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조경수목으로서 왕벚나무, 벚나무, 수양벚나무, 산벚나무 등이 친숙..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재조명 _ 식물상의 식생학적 고찰
자연생태계에서 식물은 홀로 존재하는 법이 없다. 서로 다른 식물종의 개체들이 함께 모여살거나 또는 같은 종의 개체라 할지라도 어린 개체와 성숙한 또는 노쇠한 개체들이 일정 공간에서 공존한다. 이는 본..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19987123
식물원 ; 국내의 식물원 현황과 이용실태
수목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전에 우리는 먼저 수목원의 구성요소인 식물이라는 것과 수목원 조성의 주체인 인간 그리고 인간과 식물의 관계 등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생태계는 공..
전승훈/월간 환경과조경/19911144
1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