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이규목' 검색 결과 61 건
- 서울대학교 종합화계획과 한국종합조경공사 시절을 ..
- 우리나라에 조경학이 형성된 것은 1973년 조경학과가 처음으로 설립된 것이 결정적인 계기라고 보지만 이것은 제도적 장치의 측면에서 본 것이고, 그 이전에도 조경과 관련된 일, 정원 만드는 일 등..
이규목/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6월46호
-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1)
-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결의를 맺은 탁주탁현 누상촌에 사는 유비는 한실종친이지만 집이 가난하여 짚신을 팔고 돗자리를 짜는 것을 생업으로 삼았다. 유비가 홍건적을 토벌하는 의병을 모집하는 방..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10년4월264호
- IFLA ; 조경인이여 우리 모두 뭉칩시다
-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1,500명 규모의 거대한 총회를 치르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주택공사, 도로공사, 토지개발공사, 관광공사 그리고 서울시 경주시에 대하여 외곽에서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54호
-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10)
- 관우가 끝내 지키지 못한 전략요충지 형주삼국지에 형주(荊州)는 여러 번 나오지만 삼국시기에 형주성은 없었고 형주라는 방대한 지역만 존재했다. 유표가 통치하던 시기의 형주성은 양양이었고, 적..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11년1월273호
- 한국의 유토피아
- 우리나라에는 청학동 뿐 아니라 예부터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 있어 이를 문학적으로 묘사했거나 실천을 꿈꾸는 사람들이 있었다. 유토피아에의 향수는 그 형식과 내용은 달라도 세계 어느 문화에도 나타나는 ..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90년3월34호
- 올림픽을 위한 조경 ; 올림픽을 전후한 서울시의 도시구조 개편(좌담회)
- 86 아시안 게임과 88 올림픽을 앞두고, ‘도시와 올림픽’이란 주제로 특집을 다루게 된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봅니다. 도시가 성장하고 마무리되려면 어떤 계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계기로 인해서 학..
강병기, 강홍빈, 오휘영, 이규목, 이동, 최상철/월간 환경과조경/1983년6월3호
-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8)
- 봉추선생 방통이 젊은 나이에 죽은 면죽 낙봉파낙봉파는 사천성 면죽(綿竹)을 지나 산길로 20킬로미터 들어간 곳에 있다. 이곳에는 방통묘뿐 아니라 백마파, 백마관, 방통사 등이 있다. 인근 계곡에..
이규목 /월간 환경과조경/2010년11월271호
- 좌담 ; 조경디테일 현황진단
- 이규목 : 오늘 이 자리는 우리나라에서 설계·시공되고 있는 도시의 중심지역들 내지는 자주 만나는 도시의 외부 공간을 중심으로 상세의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파헤치고 개선점을 찾고자 마련했습니다.원운재 :..
이규목 교수, 김정수 실장, 안계동 과장, 안동만 교수, 원운재 부장/월간 환경과조경/1989년11월32호
- 한국인의 얼이 담긴 장소에 관한 고찰 ; 마당론
- 마당은 우리 민족 고유한 생활공간이다. 집 안팎으로 단단하고 평평하게 다져진 땅, 마당은 언제나 우리들을 너그럽고 넉넉하게 받아들이는 편안한 우리의 장소였다. 마당은 우리가 한 가족을 건사하기 위해 ..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1982년7월1호
-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3)
- 떠나는 관우와 보내는 조조의 아름다운 이별처 허창 파릉교원소의 심복 안량, 문추를 베어 공을 세운 관우는 형인 유비가 원소 휘하에 있다는 말을 듣고 떠날 준비를 한다. 조조에게 하직인사를 올..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10년6월266호
-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4)
- 두 곳이 똑같이 삼고초려 장소라고 주장하는 와룡강과 융중삼고초려의 명장면을 중요한 부분만 간추렸지만, 소설 앞에 나오는 융중과 뒤의 와룡강은 한 장소를 지칭하는 것인데, 현지에서는 두 곳에..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10년7월267호
- 좌담 ; 제 26차 마닐라 IFLA 대회를 다녀와서 ; 정리와 발전의 기회로 삼..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규목, 김귀곤, 김학범, 박원규, 원운재/월간 환경과조경/1989년7월30호
- 영국 국회의사당 앞 '칼레의 시민'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06년3월215호
- 새들의 낙원 도쿄야조공원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05년2월202호
-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6)
- 근거지 없는 유비 서촉행의 시발점이 된 면양 부락산익주 유장 막하의 장송은 처음에는 조조에게 가서 박대를 받았으나 유비의 융숭한 대접을 받고 유비에게 서천(익주)을 취할 방도를 알려준다. 장..
이규목/월간 환경과조경/2010년9월26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