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정재훈' 검색 결과 63 건
- 문화재와 사적공간 ; 전통조경에 있어서 서적공간의 흐름
- 전통조경을 연구하고 수경함에 있어서 한국의 미술사나 고고학, 민속학적 자료에 접근하지 않으면 안된다. 왜냐하면 조경은 이러한 종합적 구상의 산물이기 때문이며, 조경유적을 발굴, 조사할 경우 대개 토목..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년4월48호
- 삼국시대의 사원1
- 불교사원은 극락의 세계관을 현세에 현현시키는데 그 조영의 구상이 있었다. 그러기에 속세와 정토를 구별하고자 하였다. 절 앞에 극락정토의 구품연지를 조성하거나 수조에 극락의 꽃이 연화를 심었다. 그리..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월57호
- 민가조원 - 경남편
- - 창녕 하병수씨 초가원 이 안채가 바로 한국 초가의 대표적인 3칸 집으로 중요민속자료 제 10호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이 초가는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 위치해 있어서 비바람도 피하고 햇빛도 가리기 위해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2년5월49호
- 삼국시대의 사원3
- 정림사지
정림사지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번지에 있다. 1942~1943년에 일본인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때 태평8년무진정림사대장당초라는 명문와가 출토되어 정림사지라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년3월59호
- 누원, 남원 광한루
- 누란 기등이 충 받침이 되어 청이 높은 다락집을 말하는데 모두 난간이 있다. 누의 기능은 휴식하거나 경관을 바라보거나 연회 (宴會)를 베푸는 일과 시회 (詩會)나 춤 노래 등 공연의 장소가 되기도 하고 성..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년8월76호
- 보길도 곡수당 지역의 발굴유적에 대한 복원 계획
- 전남문화재연구원이 2003년부터 2005년 3월 까지 보길도 곡수당 지역을 발굴조사 하였다.이지역의 발굴조사는 완도군이 보길도 윤선도 유적(사적 제368호)의 보존 정비와 활용을 위한 학술적 자료를..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2005년11월211호
- 통일신라 사원2
- -부석사
해동화엄종의 종찰로 산지가람인 부석사의 전체 배치축은 서남향을 하고 있으나 무량수전만은 방향을 바꾸어 남향으로 배치하였다. 전저후고의 구릉지에 형성된 가람은 지형에 따라 여러 단의 석축단..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년9월65호
- 고려시대 이후의 사원3
- -남원 만복사지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교룡산성(蛟龍山城)남쪽 기린봉(麒麟峰 해발 285m) 기슭에 있다. 만복사지(萬福寺址)는 고려 문종(1046~1083)때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유재란시에 남원성의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년2월70호
- 서원의 조원
- -병산서원 : 철종14년(1863)에 ‘병산(屛山)’이란 사액을 받아 서원으로 승격된 병산서원은, 북쪽은 화산(花山)이 감싸고 남쪽은 넓은 낙동강이 흐르는 배산임수한 곳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서원의 건물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년7월75호
- 나의 길(전통조경학)의 회상들(2)
- 문화재관리국장의 직책에서 한 조경적 일
문화재 관리국 기획관발령장은 1983년 7월 7일 대통령으로부터 받고 문화재관리국장 발령장은 1986년 10월 15일 대통령으로부터 받았다. 문화재관리국장은 장관의 보..
정재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1월41호
- 서원(書院)의 조원
- 서원의 구성과 배치를 살펴보면 서원은 선현을 제사드리는 제향구역, 교육을 실시하고 학문을 연구하는 강당과 원생이 숙식하는 동재, 서재가 있는 강학구역, 서원을 관리하는 고직사 구역, 누나 출입문이 있..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년4월72호
- 고려시대의 사원4
- 춘천 청평사_강원도 춘천군 북산면 청평리 산 675번지에 있는 청평사(淸平寺)는 청평산 부용봉(芙蓉奉 해발 668m) 남쪽 기슭에 있다. 이곳은 고려시대 진락공 이자현이 17년(1089-1125)동안 은거(隱居)한 곳으..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년3월71호
- 조경분야로서의 사회적 인식
- 공업화와 근대화의 강력한 추진으로 지형이 크게 바뀌고, 또 자연경관에 인위적 훼손을 가져오기도 했으나, 그런 반면 관광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이 추진되기도 했다. 또 국민들의 생활환경개선을 위해 여..
정충식, 장문기, 정재훈, 유원규/월간 환경과조경/1982년7월1호
- 나의 길(전통조경학)의 회상들(1)
- 1960년~1970년대의 회상
1963년 1월 25일 문화재관리국의 직원으로 들어가서 1968년 11월 1일 사무관이 되어 문화재과의 관리계장이 되었다. 전국의 역사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당시는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
정재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7년12월40호
- 창경궁의 원유
- 창경궁의 원은 북쪽의 근농장이 있던 추원(현재 춘당지 지역)과 어구가 있는 계류주변, 정전의 남쪽 외조 공간, 동궐도 그림에서 보이는 문정전 서남쪽의 계원, 궁궐지에 보이는 청음정 동쪽에 있던 추경원,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1년3월4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