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고제희' 검색 결과 10 건
전통적 접근방식을 통한 수목장림의 고려사항에 대하여
위 시조는 절대 불의(不義)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성삼문의 굳은 절개가 표현된 것으로, 세상을 굽어보는 늙은 소나무의 푸른 지조가 돋보인다. 전통 마을의 입구에는 대개 잡귀가 침범치 못하도록 당산(堂山)..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20064216
풍수로 풀어보는 노거수의 입지환경 ; 천연기념물 향나무 입지, 무엇이 ..
고택이나 무덤 앞에 위치한 향나무는 대개 주인이 있고, 또 나무를 조상이나 집과 동일시하여 비교적 잘 보호되고 있다. 향나무에 대한 보호와 경외의 마음은‘송광사의 쌍향수’에 잘 나타나 있다. 이 나무를 ..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200011151
풍수로 풀어보는 노거수의 입지환경 ; 천연기념물 이팝나무 입지. 무엇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팝나무는 수국 내에서 가장 잘 자라는데, 자연의 흐름이 묘파 혹은 절파일 경우에 한정한다. 태파에서는 이팝나무가 노거수로 자라지 못했고, 묘파나 절파라면 자연의 흐름이 우선하든 ..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20009149
풍수로 풀어보는 노거수의 입지환경 ; 천연기념물 느티나무 입지, 무엇이..
느티나무는 대개가 마을의 어귀에 위치하는데, 부모가 자식을 걱정하는 마음처럼 눈시울을 찡하게 만드는 나무이다. ‘親(父親,母親)’자는‘나무에(木) 올라서서(立) 바라본다(見)’라는 뜻으로, 먼 곳으로 떠난 ..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20007147
풍수로 풀어보는 노거수의 입지환경 ;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입지, 무엇이..
은행나무가 노거수로 자랄 수 있는 일반적인 땅은 화국보다는 수국, 목국, 금국 중에서 파가 각국의 묘파에 해당되고 자연의 흐름은 좌선수가 양호하다. 땅의 기운은 우선수라면 장생룡에, 좌선수라면 제왕룡..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20006146
풍수로 풀어보는 노거수의 입지환경 ; 천연기념물 소나무 입지, 무엇이 ..
바람과 물의 순환 궤도와 양[양기(陽氣)]은 어떤 형태든 생물의 생명 유지와 활동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또 땅의 생명력[음기(陰氣)] 역시 왕성하고 쇠약한 정도에 분명한 차이가 있다. 바람과 물의 운행 ..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20005145
생태적 조경과 풍수 ; 전통조경에서 정자 담장 부속물을 어떻게 조성하나
전통 정원 내에서 정자는 어떻게 조성되었는가? 터는 주로 연못이나 계류가인데, 이는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고 나아가 자연과 조화를 먼저 생각한 풍수적 산물이었다. 풍수는 정자를 산봉우리로 보니, 주변의 ..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19996134
생태적 조경과 풍수(3) _ 터, 부지, 연못은 어떻게 조성하나
살기 좋은 땅이라면 어떤 곳일까?『 정감록』에 나타난 십승지(十勝地)는 다분히 병란(兵亂)이나 탐관오리의 악랄한 토색질을 피해 살 만한 곳이 추천되었다. 그렇지만 현대에 와 그곳을 찾아보면 모두가 전답..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19995133
생태적 조경과 풍수 ; 전통조경에 나타난 풍수적 한국성은 무엇인가?
자연을 감상하는 감칠 맛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는 비가 개인 뒤의 인왕산을 그린 진경산수화로 정선(鄭敾,1676∼1759)만의 독특한 필법과 화풍이 상큼하게 드러났다. 한 번은 이 그림이 일본에 전시되었는데,..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19994132
생태적 조경과 풍수(1) -한국의 전통조경에서 풍수는 어떤 위치였나?-
사서삼경을 옆구리에 끼고 살았던 옛날 선비에게 풍수이론은 꼭 노력해서 배워야 할 공부는 아니었고, 주역에 나타난 천문·지리·물상(物象)을 음양의 원리에 따라 해석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터득하는 곁가지 ..
고제희/월간 환경과조경/19993131
1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