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경영' 검색 결과 8 건
- 뒷골목 탐험 -주민이 참여하는 경관만들기(일본 동경 스기나미구)
- 일본 동경 스기나미구청(杉區廳)은 구민 모두에게 스기나미구의 모든 것을 알게하고 친숙하게 하기 위해 1988년부터 루트를 설정,「아는 구청길 탐험대」라는 것을 만들어 구민이 주체가 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99년3월131호
- 지방자치시대와 마을가꾸기 ; 일본의 경관 연구 여행을 통하여
- 후루가와 마을에 도착한 것은 오후 3시가 조금 넘어서였다.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미가 있는 도시로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곳으로는 「교토」나 「나라」를 들 수 있겠지만 작은 「교토」라는 별명을 ..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95년10월90호
- 지방자치시대와 마을 가꾸기
- 오오가기시는 1985년 6월 국토청으로부터 「지방도시 중심시가지 활성화계획」의 모델도시로 인정을 받아 오오가기역 지구개량사업, 오오가기성주변 정비사업, 시가지개 개발사업 등을 중심사업으로 하여 민간..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95년9월89호
- 지방자치시대와 마을가꾸기(2)/일본의 경관연구 여행을 통하여
- 기후현의 토목부에서는 21세기를 향하여 꽃이 가득한 도시 기후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있다. 공공시설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토목구조물에 있어서도 지역의 역사와 문화등을 배려하고 심미성을 살려 현내..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95년8월88호
- 지방자치시대와 마을가꾸기 ; 일본의 경관 연구 여행을 통하여
- 우리나라는 현재 경관정비의 의미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표면적으로는 도시의 스카이라인, 건축물의 벽면후퇴, 공원만들기 등에 대해 성당히 노력하고 있는것 같은데 실상 신도시에 있어서 너무나 빽빽하..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95년7월87호
- 도시경관과 색채 ; 도시경관 속의 환경디자인 사례
-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가 좁은 관계로 특별히 자연환경적 요소에서는 별다른 도시간의 이미지 특징을 찾을 수 없다. 또한 인공환경적 요소를 디자인 할 때 지금까지는 어느 도시에서나 유사한 재료, 형태 그리..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92년3월47호
- 국립공원 안내체계 및 시설물 디자인 방향
-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국립 공원 전체에 들어가는 다른 시설물들과의 상호 관련성을 검토하고 거시안적이고 미시안적이며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국립공원의 품위있는 이미지를 구현하고 명료성부..
연헌일.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89년5월29호
- 국립공원 안내체계 및 시설물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국립공원"이라 함은 그 나라의 자연풍경을 대표하는 뛰어난 명승지를 국가가 법에 의하여 지정하고 이를 유지, 관리하는 공원으로서 자연환경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레크레이션 지역으로서 또 국제적..
연헌일, 김경영/월간 환경과조경/1989년3월28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