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영두' 검색 결과 54 건
조경용수목 ; 죽순대
중국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주로 죽순을 생산하기 위하여 재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넓은 정원, 공원 또는 강변이나 도로변에 경관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중국 양자강 이남에..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74108
조경용수목 _ 서향, 유카
서향 _ 이 나무는 중국원산이며 봄 일찍 개화시에 대단히 좋은 향기가 멀리까지 풍기는 이름난 꽃나무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세는 주로 남부지방에서 정원수 또는 공원수로 널리 식재되고 있으며 중부지방에서..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611103
작살나무, 종려
작살나무는 우리나라에 전국의 산록 및 계곡에 많이 자라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0-1,200m에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는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이 나무는 가을에 자수정 알처럼 빛나는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6597
조경용수목 ; 장미속
해당화_ 해당화는 좋은 꽃나무로서 옜부터 우리생활주변에 식재되어 왔으며, 특히 사찰, 서원, 고가 등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지금까지는 장미류에 밀려 이 나무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편이지만, 장미류..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마가목, 장미속, 찔레나무류
마가목 _ 봄에 힘차게 돋아나는 새순은 생동감이 넘치고 馬牙木이란 이름도 힘차게 돋아나는 새순이 말의 강한 이빨과 같다하여 붙여진 것으로 이 나무는 언제나 싱그럽고 생기가 넘치는 좋은 관상수이다.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51191
진달래속
진달래류는 봄철 화기때는 제주도 남단부터 압록강과 두만강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온 산야를 붉게 물들여 주는 아름다운 꽃나무로 먼 옛날부터 사람들의 귀여움을 받아온 우리와 가장 친근한 나무의 하나..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5787
모감주나무, 삼지닥나무
과명 : 무환자나무과 학명 :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영명 : Golden-Rain Tree 우리나라에는 황해도 및 경기도 이남에 주로 자라고 있으며 원래 중국원산으로 옛적에 도래되었다고 하는 학자도 있..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5585
부용, 가막살나무
부용 _ 부용의 변종으로 흰부용과 대만부용은 꽃색이 백색이며, 후자는 대만산이고 겹부용은 담홍색의 만첩화이다. 이 외에도 교배종이 많이 육성되어 있는데 꽃색이 적색인 것도 있고 대륜화로 개화기가 더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5383
조경용 수목(51) -무궁화
무궁화는 인도 및 중국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산지에 대한 이설도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북녘의 심산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자라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중국, 인도 및 소아시아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일본에..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5181
젓나무, 가문비나무
-젓나무 높이 40m, 직경 1.5m까지 자라는 상록침엽교목인 고산성 수목이며, 수피는 잿빛이도는 암갈색으로 거칠다. 소지는 회갈색ㅇ며 털이 없으나 간혹 있는 것이 있으며 얕은 흠이 있다. 동아는 작은 난형..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1280
측백나무, 비자나무
측백나무 우리나라에는 충북 단양, 대구시, 경북 영양 및 안동지역의 주로 석회암지대에서 회양목과 함께 자생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200~600m에 분포되어 있다., 이 나무는 과거부터 묘지 주변에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1179
금송, 노간주나무
금송나무는 일본 특산종으로 우리나라에는 일제시에 들어와 주로 관상수로 정원, 공원 및 학교원과 사찰등에 식재되어 왔다. 비교적 큰 나무를 곳곳에서 볼 수 있는데, 특히 부산 범어사에 있는 노대목은 전국..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977
조경용 수목 ; 편백, 나한백
-편백 과명 : 측백나무과 학명 : Chamaecyparis obtusa Endl. 영명 : Hinoki Cypress, Japanese Cypress 일본원산이며 우리나라에는 1904년, 일본에서 처음 도입된 이래 제주도 및 남해도서 지방과 남해안..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775
백송, 방크스소나무
백송 _ 지리적으로 원산지인 중국에는 주로 북서부의 산동 산서 하북 호북 및 협서등에 널게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에서만 자라고 있는 중국고유 특산중의 하나이다. 또한 중국에서는 이 나무를 비교적 신성한..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674
삼나무, 일본 잎갈나무
삼나무는 일본이 원산이며 1924년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래 제주도, 울릉도 및 남해도서지방과 전남, 경남 등 남부지방에서 경제수종으로 널리 식재되고 있다. 높이 40m, 직경 1~2m까지 자라는 상록침엽교목이..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472
1 2 3 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