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찬주' 검색 결과 98 건
보고듣고 참여하는 환경박람회 - 99하남국제환경박람회, 미사리 조경경기..
이번 ’99하남국제환경박람회를 더욱 풍부하게 해주는 요소는 관람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체험공간이 많다는데 있다. 가족들을 겨냥한 흙마당 체험마당, 텔레토비동산, 희귀조류전, 환경놀이 마당, 지구 25..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11139
용산공원 ; 도시민의 조용한 휴식처로서의 기능 회복해야
김정호 -“ 자연학습요소 개발로 임시 공원 성격 극복해야” 용산공원은 서울시에서 당초 계획안대로 할 경우 미8군 헬기장, 오수처리장, 클럽하우스 등의 시설부지가 모두 반환되어 마스터플랜에 의해 조성되..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11139
“지자체 개발정책, 친환경적으로 전환하는 계기 될 것” ; 김용래 ‘99하남..
김용래 ’99 하남국제환경박람회 조직위원장(65)은 환경이 한 국가의 핵심산업으로 그치지 않고 다가오는 21세기의 주요 화두임을 세계인들에게 인식시키는데 주력하겠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번 환경박람회는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10138
한국도로공사 경북지역본부 사옥 ; 체계적 식재기반 조성기법으로 부적기..
·위 치 :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 875번지·대지면적 : 33,697.27㎡·조경면적 : 16,636.09㎡·공사기간 : ’99. 3. 6 ∼ ’99. 8. 2·공사금액 : 8억5천만원·발 주 처 : 한국도로공사 경북지역본부·설계·감독 : 한국..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9137
조경직 신설, 어떻게 추진되고 있나? ; 조경직제추진위원회 바쁜 행보, ..
조경전문가에 의한 조경전담부서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조경직제 신설을 위한 조경계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6월 4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조경직제 특별위원회 연석회의가 열렸다. 김유일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9137
제주신영영화박물관 ; 영화에 관한 생생한 체험현장
·위치 :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남원리 2381 ·대지면적 : 100,800㎡(30,492평) ·건축면적 : 1,435㎡(434평) ·연 면 적 : 2,644㎡(805평) - 지하1층, 지상2층 ·조경면적 : 99,365㎡(30,110평) ·조경 : 기본설..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8136
담장없는 서울시청
서울시청 담장이 헐리고 그 자리에 시민휴식공간이 들어섰다. 서울시는 6월 중순경 시청 본관 차량출입구 옆 담장을 철거하고 담장 안 1백69평 부지에 감나무, 백목련, 팽나무, 철쭉 등 4백30여 그루를 심어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8136
“21세기 도시경쟁력은 녹지가 좌우” -문희갑 대구광역시장
지난 5월 25일 대구가 ‘국제섬유패션도시’임을 세계만방에 선포한 이래 경쟁력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문희갑(62) 대구시장의 환경 및 공원녹지 관련 행정에 가속도가 붙었다. 국제섬유패션도시에 걸맞게 도..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아름다운 정원 ; 자연이 변화를 수용하는 정원
 옥인동 주택은 기존재료를 활용하여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리 넓지는 않지만 계절의 변화를 잘 담아 내고 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제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것이 집주인이 생..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6134
우리꽃에서 자연을 배우자 ; 99 우리꽃 박람회
며느리밥풀꽃, 까마귀오줌통, 섬백리향, 하늘나리, 노루귀, 애기기린초. 듣기만 해도 앙증맞은 이것들은 이 땅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우리꽃의 이름이다. 우리꽃 특유의 아름다움과 자원화 필요성을 소개..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6134
곁에 두고 보는 온가족의 기쁨 ; 정영자씨가 가꿔온 베란다정원
참나물, 돈나물, 달래, 방울풀, 게발톱선인장, 풍란, 비치…그밖에 붉은 열매를 감상할 수 있는 백량금, 자금우를 비롯, 관음죽, 털모, 사철, 벤자민, 동백나무등이 빼곡히 들어찬 정영자씨(52세·서울시 광진구..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4132
학교조경우수사례 -고등학교
자연그대로의 숲속분위기 연출 -서울 한영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실습에 의한 학교조경관리 -청주농업고등학교- ※ 키워드 : 학교조경, 사례※ 페이지 : 121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3131
10년후 다시보는 올림픽공원
본지는 올바른 조경비평문화의 정착을 바라는 의도에서 조경사례비평을 신설한다. 근대 조경사에서 큰 관심을 모았던 주요공원을 대상지로 삼아 설계·시공 및 이용자의 측면에서 전문가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3131
“건축은 문화다”라는 인식의 확산에 주력 ; 이광노 99 건축문화의 해 조..
삶의 터전, 문학의 바탕‘이란 슬로건 아래 20세기를 마감하는 올해 문화관광부가 선정한 99 선축문화의 해가 출범했다. 바로 지금이 “문화예술의 한 분야로서의 건축’이라는 본연의 위상을 찾을 시점이다. 기..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2130
첫 생태통로 개설 - 야생동물 이동통로, 에코브리지 완공 -
최근 도로건설 등으로 단절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생태이동통로가 그 모습을 드러냈다. 환경부는 지난해 지리산에 착공한 야생동물 이동통로를 10월말 완공한 것에 이어 경기도는 12월 18일 개통한 고색∼..
김찬주/월간 환경과조경/19991129
1 2 3 4 5 6 7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