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오충현' 검색 결과 6 건
- 빗물순환 도시설계
- 최근 서울에서는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빗물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과거 서울에 발생하는 비 피해는 주로 저지대 침수에 의한 피해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보이는 ..
오충현/월간 환경과조경/2013년8월304호
- 조경과 생태계서비스
- Landscape Architecture and Ecosystem Service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 도시화 등으로 인해 우리들은 자연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서울에서 잘 자라고 있는 이팝나무와 배..
오충현/월간 환경과조경/2012년11월295호
- 도시농업: 도시 문제의 새로운 해법, 도시농업
-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도시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겪게 되었다. 대기 오염, 수질 악화와 같은 일반적인 도시 환경 문제 외에도 지나친 토양의 피복이라는 문제를 안게 되었다. 선진화..
오충현/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279호
- Green Wall: Part 1. 우리나라 입면녹화 관련 제도 ..
- 입면녹화 제도의 도입 배경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그 결과 도시 지역에서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녹지 공간이 부족해졌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원녹..
오충현/계간 조경생태시공/2011년6월62호
- 조림계획에서의 조경가의 역할
- 조경가들이 숲을 조성하고 가꾸어나가기 위한 조림계획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숲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적합한 조경가의 역할을 정립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그동안 일부 도시경관림 또는 도시환..
오충현/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6월46호
- 독일의 생태면적률 적용사례
- 비오톱면적계수의 활용
독일은 우리나라와 달리 개발계획과 보전계획이 양립하는 이원적인 공간계획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중 개발계획의 위계에 따라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개발계획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환..
오충현/계간 조경생태시공/2006년6월22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