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정충식' 검색 결과 11 건
개천과 다리
1959년 청계천의 대부분이 복개된 것은 기록에 남을 일이다. 이 명당수 개천에는 일찍부터 다리가 여러 곳에 놓여 있던 중에 대광통교, 장통교, 수표교, 새다리, 영풍교, 태평교, 영도교 등이 이름있던 다리였..
손기찬,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972106
도성과 문루
서울은 왕도이며 수도였다. 조선조 태조가 1394년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한양방어를 위해 1395년에 조선괄도에서 장정 20만명을 동원해 흙과 돌을 섞어 쌓았다. 그러나 짧은 기간에 급히 쌓느라 부실한 곳..
손기찬,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9612104
6백년 수도서울, 도시환경의 맥을 짚어본다 ; 6백년 수도 서울의 시설물
1394년 태조 이성계가 서울을 도읍으로 정한 이래 6백년이란 세월이 흐르는 동안 여러분야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변화와 발전이란 항상 전통이라는 개념과 대치되면서 서로 상충되기도 하고 때..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서울의 문화유적 ; 양관건축Ⅱ ; (1910년 이후부터 해방 이전의 건축)
1900년을 전후로 하여 세워진 몇 개의 외국영사관 건물과 종교 및 의료시설의 양식 건축은 서서히 일반시민들의 눈에 익게 되었다.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 정부와 을사보호조약을 체결함으로..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8523
서울의 문화유적 ; 양관건축 ; 1900년대 이전 구한말을 중심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서양식의 건물이 새롭게 서고 헐리어 졌으며 도시는 서구적인 형태로 바뀌어 졌다. 이런 과정에서 전통적 양식의 궁궐과 가옥들은 무참히 파괴되었고, 그 자리에는 제국주의 열감들..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8322
서울의 문화유적 ; 능·묘·고분
만물의 영장이라고들 말하는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이 있다면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며, 사고의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구를 사용하여 일을 처리한다는 등의 많은 점을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죽은 시체의 ..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71120
서울의 문화유적 ; 민가
한옥은 건축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서민 생활사적 가치로 볼 때, 우리의 구중한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의 관심을 끌지 못한 채 점차 퇴락해가는 전통적 민가의 원..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7718
서울의 문화유적 ; 성곽
이 글은 점차 잊혀져가는 역사속의 동반자 성곽에 대하여 귀중한 문화 유산으로의 가치 부여와 새로운 인식을 새겨 주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서울 주변의 성곽과 성문에 대하여 그 간단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7316
서울의 문화유적 ; 다리
일반적으로 길이 연결된 곳에 가로지르는 강이나 하천을 건너가게 하느라고 가설한 구조물을 다리 또는 교량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교량이 발달하여 일찍이 백제시대에는 일본에 교량 축조기술을 ..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6914
서울의 문화유적 ; 도시개발과 서울의 문화유적
서울에는 수많은 문화유산이 있고 우리는 그것을 보존, 복구, 복원하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 수많은 세월을 겪으면서 소실되어 버리고 훼손되어버린 우리의 문화유산, 그것을 바로 지..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6312
조경분야로서의 사회적 인식
공업화와 근대화의 강력한 추진으로 지형이 크게 바뀌고, 또 자연경관에 인위적 훼손을 가져오기도 했으나, 그런 반면 관광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이 추진되기도 했다. 또 국민들의 생활환경개선을 위해 여..
정충식, 장문기, 정재훈, 유원규/월간 환경과조경/198271
1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