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정충식' 검색 결과 11 건
- 개천과 다리
- 1959년 청계천의 대부분이 복개된 것은 기록에 남을 일이다. 이 명당수 개천에는 일찍부터 다리가 여러 곳에 놓여 있던 중에 대광통교, 장통교, 수표교, 새다리, 영풍교, 태평교, 영도교 등이 이름있던 다리였..
손기찬,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97년2월106호
- 도성과 문루
- 서울은 왕도이며 수도였다. 조선조 태조가 1394년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한양방어를 위해 1395년에 조선괄도에서 장정 20만명을 동원해 흙과 돌을 섞어 쌓았다. 그러나 짧은 기간에 급히 쌓느라 부실한 곳..
손기찬,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96년12월104호
- 6백년 수도서울, 도시환경의 맥을 짚어본다 ; 6백년 수도 서울의 시설물
- 1394년 태조 이성계가 서울을 도읍으로 정한 이래 6백년이란 세월이 흐르는 동안 여러분야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변화와 발전이란 항상 전통이라는 개념과 대치되면서 서로 상충되기도 하고 때..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94년2월70호
- 서울의 문화유적 ; 양관건축Ⅱ ; (1910년 이후부터 해방 이전의 건축)
- 1900년을 전후로 하여 세워진 몇 개의 외국영사관 건물과 종교 및 의료시설의 양식 건축은 서서히 일반시민들의 눈에 익게 되었다.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 정부와 을사보호조약을 체결함으로..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8년5월23호
- 서울의 문화유적 ; 양관건축 ; 1900년대 이전 구한말을 중심으로
-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서양식의 건물이 새롭게 서고 헐리어 졌으며 도시는 서구적인 형태로 바뀌어 졌다. 이런 과정에서 전통적 양식의 궁궐과 가옥들은 무참히 파괴되었고, 그 자리에는 제국주의 열감들..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8년3월22호
- 서울의 문화유적 ; 능·묘·고분
- 만물의 영장이라고들 말하는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이 있다면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며, 사고의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구를 사용하여 일을 처리한다는 등의 많은 점을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죽은 시체의 ..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7년11월20호
- 서울의 문화유적 ; 민가
- 한옥은 건축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서민 생활사적 가치로 볼 때, 우리의 구중한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의 관심을 끌지 못한 채 점차 퇴락해가는 전통적 민가의 원..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7년7월18호
- 서울의 문화유적 ; 성곽
- 이 글은 점차 잊혀져가는 역사속의 동반자 성곽에 대하여 귀중한 문화 유산으로의 가치 부여와 새로운 인식을 새겨 주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서울 주변의 성곽과 성문에 대하여 그 간단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7년3월16호
- 서울의 문화유적 ; 다리
- 일반적으로 길이 연결된 곳에 가로지르는 강이나 하천을 건너가게 하느라고 가설한 구조물을 다리 또는 교량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교량이 발달하여 일찍이 백제시대에는 일본에 교량 축조기술을 ..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6년9월14호
- 서울의 문화유적 ; 도시개발과 서울의 문화유적
- 서울에는 수많은 문화유산이 있고 우리는 그것을 보존, 복구, 복원하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 수많은 세월을 겪으면서 소실되어 버리고 훼손되어버린 우리의 문화유산, 그것을 바로 지..
정충식/월간 환경과조경/1986년3월12호
- 조경분야로서의 사회적 인식
- 공업화와 근대화의 강력한 추진으로 지형이 크게 바뀌고, 또 자연경관에 인위적 훼손을 가져오기도 했으나, 그런 반면 관광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이 추진되기도 했다. 또 국민들의 생활환경개선을 위해 여..
정충식, 장문기, 정재훈, 유원규/월간 환경과조경/1982년7월1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