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

WATER FRONT의 개발계획 ; 국내 사례를 통해 본 워터프론트의 발전방향

월간 환경과조경1992852l환경과조경
워터프론트 개발이 갖는 의의가 있다.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워터프론트 개발은 바다, 강 호수 등 비교적 큰 수역과 육역을 갖춘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몇 가지 사례로는 한강정비사업, 올림픽 기념공원, 월미도, 부산 인공섬의 워터프론트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워터프론트 개발은 아직 개발방식이나 유형에 있어 충분한 공감대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사례도 많지 않다. 따라서 최근에 수행한 몇몇 해상 신도시 계획사례를 통해 수제공간 자체에 국한, 계획과정을 통해 접근하려 했던 가치체계를 스스로 반추해봄으로써 도시 생활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수변공간의 무한한 잠재력을 살펴보았다.
바람직한 수제공간의 개발은 도시계획, 조경, 건축 등의 환경설계관련 제 분야가 조화로운 목소리를 갖출 때 비로소 가능할 것이다.


※ 키워드 : 부산 인공섬, 월미도, 한강정비사업, 수제공간 개발
※ 페이지 : 122~127
정양희  ·  도시계획기술사 (주)서인엔지니어링 대표이사
다른기사 보기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