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곡에 나타난 한국전통
월간 환경과조경1990년7월36호l환경과조경
곡의 전래는 조선중기 용재 성현의 수필집인 용재사를 세우고 남호가에 담담정을 꾸며 천하의 좋은 그림과 글씨를 모았다고 했다. 이것으로 보아 성리학이 들어온 후 성리학적 사상시가나 자연묘사를 그린 구곡도가 전해졌음이 틀림없지만 우리나라에 정착하는 데에는 아무래도 조선왕조가 낳은 최고의 성리학자인 퇴계의 도산십이곡, 율곡의 석담정사, 고산구곡과 고산구곡도가 이루어진 후 곳곳에 구곡을 경영했으리라 생각된다.
※ 키워드: 곡, 풍수사상, 주자, 무이구곡, 산수, 전통경관, 도교
※ 페이지: p98~103
※ 키워드: 곡, 풍수사상, 주자, 무이구곡, 산수, 전통경관, 도교
※ 페이지: p98~103
- 최기수 ·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