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생태학

판매자 : 도서출판 조경 | 문의 : Tel. 031-932-3122 | E-mail : lafent@naver.com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도서출판 조경와(과) 라펜트와의 계약을 통해 운영되고 있으므로 배송, 반품, AS 등에 대해서는 도서출판 조경(으)로 문의 바랍니다.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도서출판 조경와(과) 라펜트와의 계약을 통해 운영되고 있으므로 배송, 반품, AS 등에 대해서는 도서출판 조경(으)로 문의 바랍니다.
습지에 대한 정의부터 습지유형분류 및 매핑,
습지의 기능 및 이용, 습지조사 및 관리,
국내 및 해외 중요 습지에 대한 정보까지
습지에 대한 모든 것!
‘습지생태학’은...
이 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Chapter I에서는 습지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정의, 습지보전을 위한 국내외 노력, 습지와 관련된 이슈, 습지와 문화 등 습지에 대한 보편적이고 타당한 인식과 정책, 그리고 문화적 요소 등을 담고 있다.
Chapter II에서는 습지의 판별, 유형분류, 매핑 등에 대한 전문적 내용을 다루고 있다. 습지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어떤 종류의 습지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를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습지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더불어 판별과정, 범위 설정 등에 대한 이론고찰 및 필자 등의 연구에서 다루었던 사례를 수록하였다. 습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서 전통적인 수문 특성에 의한 분류방식과 더불어 람사르협약 및 필자가 제안했던 분류체계를 포함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의 습지유형분류체계를 고찰하고, 최근 우리나라 국가습지목록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습지연구 성과를 지도를 통해 나타내기 위한 방법론과 과정 및 연구자 등이 수행했던 사례를 소개하였다.
Chapter III는 습지의 기능과 습지를 현명하게 이용하기 위한 이론과 방법론, 기능평가 모델 및 평가사례 등을 담고 있다. 습지가 지니는 다양한 기능과 중요성을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와 더불어 람사르협약에서 제시하는 기능과 가치를 소개하였고, 습지를 현명하게 이용하기 위한 실천과제와 국제적, 국가적 노력 등을 소개하였다.
Chapter IV는 습지를 조사하고 복원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사방법, 정책, 시설, 대체습지 등을 다룬다.
Chapter V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습지를 보전지역 지정 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중요한 습지를 지정하는 제도로서, 람사르협약에 의한 람사르 습지, 국내법에 의한 습지보호지역 등을 살펴보았고, 람사르협약에 등록된 국내 중요 습지의 특징과 관리현황, 훼손 및 복원방안, 기타 보전방안 등을 답사자료를 포함하여 소개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중요한 습지를 유역 및 권역별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Chapter VI는 동북아의 중요한 습지를 다루었다. 중국 북동부와 상해, 항주 지역을 중심으로 람사르협약에 등록된 습지를 포함한 자연습지와 복원된 습지 등의 특징과 훼손 현황, 복원전략 등을 소개하였다. 일본의 람사르 습지와 러시아 극동부 및 몽골, 베트남 등의 습지를 답사자료와 함께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Chapter VII은 습지의 미래에 대한 제안으로서 우리나라 습지를 보전하고 더욱 현명하게 이용하기 위한 제안을 담고 있다.
본문 중에서
언제부터인가 습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제 습지는 전문가는 물론 일반인에게조차 아주 자연스럽게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습지는 동화나 소설 속에서, 그리고 만화 속에서 대부분 부정적인 시각으로 묘사되곤 했다. 축축하고 버려진 땅, 무서운 괴물이나 해로운 병균과 벌레가 가득한 곳……. 실제로 선진국에서조차 습지는 버려진 땅으로 인식되어 정부 예산을 지원하면서까지 대지나 농지 등으로 변경할 것을 권장하는 정책을 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는 습지의 생태적 중요성이 새롭게 평가되면서, 생태적으로 건강한 습지를 보전하고 훼손된 습지를 복원하거나 기능을 향상시키며 또는 새로운 습지를 조성하는 정책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많이 늦기는 했어도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 하겠다.
이 책은 대학 및 대학원의 습지생태학 또는 습지 연구에 적합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일반 습지 전문가에게도 습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행정가들에게는 습지와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에 판단 근거를 제공해주면서, 국가 또는 국제적 습지의 현명한 이용을 위한 유력한 이론과 기술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이 이러한 연구자, 의사결정자, 정책입안자 등을 통해 국내외 습지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된다면 이보다 더 큰 기쁨은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아울러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습지를 연구하는 동료 및 후학들과 습지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진 일반인, 정부나 기업의 습지 담당자, 그리고 이제 학문의 길에 들어서 장차 우리나라와 나아가 인류를 위해 습지연구에 매진하게 될 대학생, 대학원생들에게 습지를 이해하고 의사결정 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면 큰 다행이라 생각한다.
- “책머리에” 중에서
습지의 기능 및 이용, 습지조사 및 관리,
국내 및 해외 중요 습지에 대한 정보까지
습지에 대한 모든 것!
‘습지생태학’은...
이 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Chapter I에서는 습지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정의, 습지보전을 위한 국내외 노력, 습지와 관련된 이슈, 습지와 문화 등 습지에 대한 보편적이고 타당한 인식과 정책, 그리고 문화적 요소 등을 담고 있다.
Chapter II에서는 습지의 판별, 유형분류, 매핑 등에 대한 전문적 내용을 다루고 있다. 습지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어떤 종류의 습지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를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습지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더불어 판별과정, 범위 설정 등에 대한 이론고찰 및 필자 등의 연구에서 다루었던 사례를 수록하였다. 습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서 전통적인 수문 특성에 의한 분류방식과 더불어 람사르협약 및 필자가 제안했던 분류체계를 포함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의 습지유형분류체계를 고찰하고, 최근 우리나라 국가습지목록 구축에 적용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습지연구 성과를 지도를 통해 나타내기 위한 방법론과 과정 및 연구자 등이 수행했던 사례를 소개하였다.
Chapter III는 습지의 기능과 습지를 현명하게 이용하기 위한 이론과 방법론, 기능평가 모델 및 평가사례 등을 담고 있다. 습지가 지니는 다양한 기능과 중요성을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와 더불어 람사르협약에서 제시하는 기능과 가치를 소개하였고, 습지를 현명하게 이용하기 위한 실천과제와 국제적, 국가적 노력 등을 소개하였다.
Chapter IV는 습지를 조사하고 복원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사방법, 정책, 시설, 대체습지 등을 다룬다.
Chapter V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습지를 보전지역 지정 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중요한 습지를 지정하는 제도로서, 람사르협약에 의한 람사르 습지, 국내법에 의한 습지보호지역 등을 살펴보았고, 람사르협약에 등록된 국내 중요 습지의 특징과 관리현황, 훼손 및 복원방안, 기타 보전방안 등을 답사자료를 포함하여 소개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중요한 습지를 유역 및 권역별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Chapter VI는 동북아의 중요한 습지를 다루었다. 중국 북동부와 상해, 항주 지역을 중심으로 람사르협약에 등록된 습지를 포함한 자연습지와 복원된 습지 등의 특징과 훼손 현황, 복원전략 등을 소개하였다. 일본의 람사르 습지와 러시아 극동부 및 몽골, 베트남 등의 습지를 답사자료와 함께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Chapter VII은 습지의 미래에 대한 제안으로서 우리나라 습지를 보전하고 더욱 현명하게 이용하기 위한 제안을 담고 있다.
본문 중에서
언제부터인가 습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제 습지는 전문가는 물론 일반인에게조차 아주 자연스럽게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습지는 동화나 소설 속에서, 그리고 만화 속에서 대부분 부정적인 시각으로 묘사되곤 했다. 축축하고 버려진 땅, 무서운 괴물이나 해로운 병균과 벌레가 가득한 곳……. 실제로 선진국에서조차 습지는 버려진 땅으로 인식되어 정부 예산을 지원하면서까지 대지나 농지 등으로 변경할 것을 권장하는 정책을 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는 습지의 생태적 중요성이 새롭게 평가되면서, 생태적으로 건강한 습지를 보전하고 훼손된 습지를 복원하거나 기능을 향상시키며 또는 새로운 습지를 조성하는 정책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많이 늦기는 했어도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 하겠다.
이 책은 대학 및 대학원의 습지생태학 또는 습지 연구에 적합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일반 습지 전문가에게도 습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행정가들에게는 습지와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에 판단 근거를 제공해주면서, 국가 또는 국제적 습지의 현명한 이용을 위한 유력한 이론과 기술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이 이러한 연구자, 의사결정자, 정책입안자 등을 통해 국내외 습지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된다면 이보다 더 큰 기쁨은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아울러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습지를 연구하는 동료 및 후학들과 습지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진 일반인, 정부나 기업의 습지 담당자, 그리고 이제 학문의 길에 들어서 장차 우리나라와 나아가 인류를 위해 습지연구에 매진하게 될 대학생, 대학원생들에게 습지를 이해하고 의사결정 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면 큰 다행이라 생각한다.
- “책머리에” 중에서
- 구본학 ·
-
다른기사 보기
새로나온 책
-
- 한국정원 답사수첩소프트양장
역사경관연구회 저/2008.12.00
동녘
전통정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정원의 범위를 정하고, 무엇을 ..
-
- 실력이 탐나는 포토샵 CS5
유진영, 전나민 /2010.10.00
정보문화사
포토샵을 처음 접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이전 버전 사용자 및 디자이너 지망..
-
- 클릭, 서양건축사: 스톤헨지에서 해체주의 건..
캐롤 스트릭랜드 저/양상현 등역/2003.09.00
예경
이 책은 스톤헨지에서 최근의 해체주의 건축까지 서양건축의 역사를 충실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