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하수처리장 지하화···상부 4만평에 공원 조성
환경부, 구리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최종 승인라펜트l기사입력2021-12-06

구리하수처리장 항공사진 / 구리시 제공
구리시는 하수처리시설을 지하화하고 상부 4만평을 공원으로 조성한다.
2022년부터 예산확보, 설계,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실시하고 2025년 공사에 착수해 2029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해 현재 하수처리시설 부지를 시민에게 돌려 줄 계획이다.
구리시는 구리공공하수처리시설 노후화 재건설 및 수질 강화를 위한 내용으로 신청한 구리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부분변경)이 12월 1일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최종 승인됐다고 밝혔다.
구리공공하수처리시설은 1989년 준공 후 32년 째 운영 중이다. 정밀안전진단 결과 D등급으로 평가되어 기능 저하로 인한 안정적인 방류 수질을 준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시설 노후화로 근로자 안전사고 발생 위험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로 인한 다수의 민원이 발생하는 등 운영상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어 엄격하게 관리를 하고 있는 시설이다.
특히, 하류 10㎞ 이내로 암사, 한강, 풍납 등 6개의 취수원이 위치하고 있어 문제가 발생될 경우 수도권 시민의 식수원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매우 크다. 따라서 구리하수처리시설의 재건설은 수도권 전체를 놓고 볼 때 대단히 민감하고 중요한 사안이다.
이에 따라 구리시는 안정적인 수처리 등 문제점의 궁극적인 해소를 위해 하수처리시설의 재건설을 추진하게 됐고, 정밀안전진단 실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하수도정비기본계획(부분변경)을 신청해 환경부(한강유역환경청)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게 됐다.
안승남 시장은“구리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부분변경) 승인으로 국비 등 외부재원을 지원받아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고, 안정적인 수처리를 통한 상수원 관리로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겠다”며, “우리가 생활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지만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있는 하수처리시설의 지하화로 도시공간의 효율적 활용과 환경보전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것”이라고 전했다.
- 글 _ 임경숙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lafent@naver.com
관련키워드l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경기도, 도시공원, 공원, 친환경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