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을 동북아 물류·관광의 허브로 육성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을 통해 청사진 마련
라펜트l기사입력2010-04-21

수려한 해안경관과 함께 기간산업이 집약된 남해안이 초광역개발권의 선발주자로서 지역간 협력·통합을 바탕으로 「동북아의 새로운 경제․물류․휴양허브의 선벨트」로 조성된다.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4월 21일 개최된 ‘제7차 지역발전 위원회 회의’에서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종합계획(안)은 작년에 발표된 초광역개발권 기본구상(’09.12.2)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국토연구원 및 지방연구원의 합동연구를 거쳐 부산, 전남, 경남지역 간의 상호 협력 하에 행정구역을 초월하는 중장기 발전 계획을 직접 공동 입안하였다.

이에 중앙정부가 적극 협력하여 수립된 상향식 지역발전 계획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그간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던 전남~경남~부산을 잇는 철도·도로 등 교통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안) 총괄도

종합계획(안)의 주요 전략 및 발전방안을 살펴보면,
 「세계적 해양 관광·휴양지대 조성」을 위해 주요 거점별, 테마별로 관광·휴양클러스터를 구축
 「글로벌 경제·물류거점 육성」을 위해 수리조선(부산), 기자재·해양플랜트(고성·통영), 중소형 조선(신안), 엔진·부품(영암 등) 거점단지를 연계․조성하는 조선산업 클러스터(부산, 신안, 영암, 고성)를 육성하여 고부가가치화를 추진
③ 「통합인프라 및 초국경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 동서를 잇는 남해안 일주철도를 단계적으로 복선전철화하고, 국도 77호선도 점진적으로 확충하여 2시간대 통합생활권 조성
④ 「동서통합 및 지역발전 거점 육성」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남중권*을 남해안권 발전의 중추거점으로 육성하고 문화예술지대, R&D 시범지대도 조성한다고 말하고 있다.
(* 남중권 : 섬진강을 중심으로 영호남이 교차하는 전남 동부 및 경남 서부지역으로서 여수, 순천, 광양, 사천, 하동, 남해 등이 포함)

사업비, 민자포함 24.3조원
종합계획(안)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2020년까지 민자를 포함하여 총 24.3조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48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조원, 일자리는 22만개 창출이 예상된다.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가용자원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역발전 및 산업파급효과가 큰 사업부터 순차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민간의 창의·자율성 도입과 함께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외자본 및 민간자본의 적극적인 유치를 위한 지원방안도 추가 마련하고, 남해안에 대한 국내외 이미지제고 및 투자․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자체 공동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설명회․로드쇼 등 홍보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남해안 통합 브랜드도 개발하며, 조만간 범정부적인 지원 T/F를 구성하여 사업추진을 점검․지원하도록 하고 지방에서는 지역협의회, 포럼, 분야별 자문단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종합계획(안)의 시행을 법적․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난 3월 18일 동서남해안권발전 특별법을 개정하여 중복된 심의절차를 통․폐합하고 각종 의제처리 사항을 대폭 확대하는 등 사업절차를 대폭 간소화한데 이어, 금년 중 자연공원 및 수산자원보호구역의 범위도 기 개발된 지역을 중심으로 대폭 조정하고 친환경 숙박시설 설치 허용, 숙박시설 설치기준 완화 등 허용행위도 확대할 예정이며, 난개발 및 경관훼손을 방지하고 해안경관과 조화로운 개발을 이루어지도록 금년 중 「해안경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경관수준에 따라 개발정도를 탄력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 추진전략 및 발전방안 개요

전략 1. 세계적 해양 관광·휴양지대 조성

① 친환경 해양관광산업 육성

▲거제 지세포 해양·레포츠타운(안)

▲하동대도개발(안)

② 문화예술·녹색생태 등 테마관광 활성화

▲완도 세계해상영웅공원(안)

▲순천만 습지 전경

 ③ 신해양관광 연계 인프라 구축 _ 해양레포츠, 크루즈 관광 개발

전략 2. 글로벌 경제·물류 거점 육성

▲전략

① 전략산업 구조 고도화와 미래 신산업 창출

▲남해안 중소형 조선단지(안)

▲부산신항 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안)

② 동북아 물류항만 게이트웨이 구축 _ 부산항과 광양항을 산업·비즈니스·관광·IT 등이 융합한 포트 비즈니스 밸리(Port Biz Valley)로 조성
③ 농수산업 특화발전 기반조성

▲남해 마늘연구소(안)

전략 3. 통합인프라 및 초국경 네트워크 구축

▲전략

① 2시간대 통합생활권 구축을 위한 인프라 구축 _ 남해안의 해안선과 섬을 잇는 국도 77호선(목포~부산)을 점진적으로 확충하고 장기적으로 다도해·한려수도권내 연륙·연도교도 검토
② 초국경·광역경제권간 연계 네트워크 구축

전략 4. 동서통합 및 지역발전 거점 육성

▲전략

① 동서통합 및 지역상생 기반 구축

▲섬진강 테마로드 계획(안)

② 여수 세계박람회를 계기로 세계적 관광명소화 추진

▲2012 여수 세계박람회 조감도

③ 지역별 특화 성장거점 육성 _ 혁신도시(부산), 기업도시(무안, 영암·해남), 경제자유구역(부산, 진해, 광양만), 국가산업단지(광주·전남) 등

강진솔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kegjw@naver.com
관련키워드l남해안선벨트, 해양관광, 섬진강테마로드, 여수세계박람회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