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9건
- 2009 저탄소 녹색성장과 인공지반녹화 국제세미나
-
교수)가 맡아 진행하였다. 안양호 경기도 행정부...교수(서울대)는 환영사를 통해 “우수 유출 저감과 먼지ㆍ소음 등의 감소, 냉ㆍ난방비 절약, 곤충...
월간 환경과조경/2009년12월호
- 제3회 대한민국 조경대상 시상식 및 제3회 조경의 날 기념행사
-
오충현 교수(동국대 산림자원학과)가 수상하였다. 기념강연으로 황기원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교수는 강연을 통해 조경의 일반적 인식을 지적...
월간 환경과조경/2006년6월호
- 빗물순환 도시설계
-
최근 서울에서는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빗물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과거 서울에 발생하는 비 피해는 주로 저지대 침수에 ...
월간 환경과조경/2013년8월호
- 조경과 생태계서비스
-
Landscape Architecture and Ecosystem Service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 도시화 등으로 인해 우리들은 자연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
월간 환경과조경/2012년11월호
- 도시농업: 도시 문제의 새로운 해법, 도시농업
-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도시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겪게 되었다. 대기 오염, 수질 악화와 같은 일반적인 도시 환경 문제 외...
월간 환경과조경/2011년7월호
- Green Wall: Part 1. 우리나라 입면녹화 관련 제도 현황
-
입면녹화 제도의 도입 배경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그 결과 도시 지역에서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
계간 조경생태시공/2011년6월호
- 녹색성장 관련 조경공무원 회의
-
오충현 교수의 사회로, 녹색성장위원회 김형국 위원장과 Third Space의 고정희 소장의 기조연설을 포함해 약 5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녹색 發성장...
월간 환경과조경/2009년10월호
- 조림계획에서의 조경가의 역할
-
조경가들이 숲을 조성하고 가꾸어나가기 위한 조림계획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숲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적합한 조경가의 역할을 정립해야 하는 ...
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6월호
- 독일의 생태면적률 적용사례
-
비오톱면적계수의 활용
독일은 우리나라와 달리 개발계획과 보전계획이 양립하는 이원적인 공간계획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중 개발계획의 위계...
계간 조경생태시공/2006년6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