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키워드 '조경' 검색 결과 72 건
도시숲법 등 관련 산림청에 전한 조경계 의견
도시숲법 등 관련 산림청에 전한 조경계 의견글_오순환 조경지원센터 본부장조경계 의견1) 도시숲법은 정의, 시공 조항 등을 수정하여 제정 요구함. 또한, 산림기술법 시행령 및 산림자원법 시행령에서..라펜트2020-03-20
[녹색시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경의 새로운 역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경의 새로운 역할글_김태한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지난달 아카데미 4개 부문 수상으로 한국 영화의 세계적 가능성을 널리 알린 기생충과 마지막까지 주요 수상부문에서 경합했던 “1..라펜트2020-03-10
[녹색시선] 비니 매스(Winny Mass)여, 한국 조경의 통수..
비니 매스(Winny Mass)여, 한국 조경의 통수를 후려쳐라!글_김영민(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비니 매스가 또 한 건을 터뜨렸다. 2019년 11월, 이름도 장황한 ‘서울 국제교류복합지구(SID) 수변생태 여가문화 공간..라펜트2020-02-13
[녹색시선] 조경 내부의 적들
조경 내부의 적들글_김영민(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조경의 내부에는 두 적이 있다. 강박증자와 냉소주의자이다. 강박증자들은 조경을 너무나도 사랑하는 자들로써 조경의 가치를 위해서라면 기꺼이 자신을..라펜트2019-12-08
[녹색시선] 조경의 아버지 옴스테드, 그는 무엇을 우리..
조경의 아버지 옴스테드, 그는 무엇을 우리에게 남겼나?글_김수봉(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전공 교수)미국의 사우스 다코다州 러시모어 산에는 나라를 세운 ‘조지 워싱턴’, 땅을 넓힌 ‘토마스 제퍼슨’, 나라의 ..라펜트2019-11-29
[녹색시선] 조경산업의 혁신을 기대하며
조경산업의 혁신을 기대하며글_오충현(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우리나라는 비약적인 성장의 시대를 마감하고 이제는 관리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런 사회 현상의 한 지표로 지속적으로 인구 감소가 진행..라펜트2019-11-26
[녹색시선] 도시열섬: 원인과 대책 그리고 조경의 역할
도시열섬: 원인과 대책 그리고 조경의 역할글_김수봉(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전공 교수)1820년 런던의 아마추어 기상학자 루크 하워드(Luke Howard)는 10년간의 런던의 매일의 기온변화 분석을 통하여 런던의 ..라펜트2019-08-23
[녹색시선] 조경은 과학인가
조경은 과학인가글_김수봉(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전공 교수)필자가 조경학을 배울 때 가장 많이 들었던 정의는 아마도 “조경은 과학이요 예술”이었다. 서양의 근대와 함께 나타난 조경은 동시대에 탄생한 디..라펜트2019-06-19
[녹색시선] 조경주체, 지역도시재생추진체계에 참여해야
조경주체, 지역도시재생추진체계에 참여해야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인근 지역에서 조경엔지니어링업무를 하고 계신 분들이 제 사무실을 찾아오셨다. 엔지니어링쪽에서 지자체에서 발주한 장..라펜트2019-05-22
[기고] 조경의 새로운 플랫폼, 조경직 공무원 채용
조경의 새로운 플랫폼, 조경직 공무원 채용- 조경직 공무원 채용계획과 관련하여 조경인에게 드리는 글 -글_이상석 (재)환경조경발전재단 이사장(사)한국조경학회 회장존경하는 조경인 여러분!아름다운 꽃이 ..라펜트2019-04-24
[녹색시선] 바나나우유의 본질은...
바나나우유의 본질은...글_김수봉(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전공 교수)대학에서 논문심사의 계절이 끝났다. 최근 조경학관련 학위 논문심사를 하면서 늘 아쉬운 점은 논문 어디에도 조경에 대한 언급이 없다. ‘..라펜트2019-02-27
[녹색시선] 사회적 도시농업의 필요성과 조경의 역할
사회적 도시농업의 필요성과 조경의 역할글_오충현(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2000년대 이후 수도권 도시를 중심으로 확산된 도시농업 운동은 이후 2011년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라펜트2019-02-24
[녹색시선] 중외합작판학을 소개합니다
중외합작판학(the Sino-foreign Co-operation in running Schools)을 소개합니다글_김수봉(계명대학교 공과대학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교수)필자는 2018년 12월 31일 현재 중국 하남성(河南省) 정주시(鄭州..라펜트2019-01-13
[녹색시선]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도시녹화의 필요성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도시녹화의 필요성글_오충현(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최근 미세먼지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과거에도 미세먼지는 있었지만 대개 황사 철에 겪던 짧은 계절적인 현상이었다..라펜트2018-12-12
[녹색시선] 기후변화시대 폭염 저감을 위한 조경의 역할
기후변화시대 폭염 저감을 위한 조경의 역할글_오충현(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생태계서비스연구소장)금년 여름 우리나라는 폭염이 맹위를 떨치고 있다. 기상 관측 이래 최고온도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 우..라펜트2018-08-23
[녹색시선] 이상기후현상은 조경분야의 새로운 기회
이상기후현상은 조경분야의 새로운 기회글_홍광표(동국대 조경학과 교수,(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회장최근 우리는 불교에서 말하는 화염지옥 같은 날씨 속에 살고 있다. 나무와 풀이나 짐승은 물론이고 사람까지도..라펜트2018-08-21
[녹색시선] 조경 청년실업 고민
조경 청년실업 고민글_김선일(LH 도시경관단 공간환경부 부장)얼마 전 “일자리 못 키운 ‘일자리 정부’.......‘청년 불신’만 더 키웠다”라는 신문기사 타이틀이 눈에 밟혔다. 국가적·사회적으로 고민되는 화두는 당..라펜트2018-06-12
[녹색시선] 조경진흥법은 이렇게 일 했다(1)
조경진흥법은 이렇게 일 했다(1) : 국토교통부와 조경의 위상 변화글_안승홍(한경대 조경학과 교수) 환경조경발전재단 조경산업진흥법 전문위원회는 2012년 11월말 과천에서 당시 국토해양부 녹색도시과와 첫..라펜트2018-05-08
1 2 3 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