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작]친환경안심놀이터-반석 어린이공원

사업주체 도봉구, 놀이시설은 원앤티에스
라펜트l나창호 기자l기사입력2011-05-16

지난 11일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2011 친환경 안심어린이놀이터의 공모 결과를 발표했다. 금년에는 최우수 작품은 선정되지 않은 가운데, 15개 작품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들은 환경안정성, 기능성, 정서∙교육, 안전관리 등 5개의 심사기준아래 엄선된 안심놀이터이다. 라펜트는 기존 자연지형을 살리는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해 우수상을 수상하였던 도봉구 반석어린이공원을 소개한다.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관리법을 기준으로 배치 계획된 놀이터 전경

반석 어린이공원

사업주체: 서울시 도봉구(구청장 이동진)

놀이시설: ㈜원앤티에스(대표 이조원)

 

반석 어린이공원은 대상지 인근에 위치한 초안산 일대에서 발견된 보호종표범장지뱀을 놀이시설화 했다. 표범장지뱀을 어린이 곁으로 되돌려줌으로써 함께 뛰어 놀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자는 취지아래 계획된 것이다. 이 공원은 기존의 자연지형을 살리고 수공간을 조성하여 자연이 살아있도록 계획하였다.

 

품질 뛰어난 친환경 놀이시설 목재

놀이터에 시공된 모든 놀이시설과 바닥재는 우수한 품질의 환경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하고 인체에 무해한 방부처리와 도장처리로 안전성과 친환경성이 고려된 놀이공간을 조성하였다.

 

목재에 대한 품질 안전성은 국립산림과학원장의 품질인증서와 한국화학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를 통해 증명되었다. 난간과 장식에 사용된 외벽용 라미스판넬의 환경유해성과 자재안전성은 한국공기청정협회를 통한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서와 한국생활시험연구원(KEMTI)과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성적서에서 안전한 품질을 가진 자재라는 것이 판명됐다.

 

바닥재로 사용된 고무블록은 유효자원을 재활용한 친환경적 제품으로서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의 우수재활용제품 인증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했다.



 

자연친화

노후했었던 공원을 개발할 당시 인근에 위치한 초안산 근린공원의 기존 연결통로를 존치시켜 시민들의 공원이용을 쉽고 용이하도록 하였다.

 

부지의 높낮이 동선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해 놀이시설은 단차가 없는 램프구조로 시공하여 아이들이 자유롭게 활동하고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하였다.

 

또한 실개천을 연상시키는 수공간을 배치함으로써 녹지와 조화롭고 자연과의 친화력을 높여줄 수 있는 친환경적인 놀이공간이 되도록 했다.

 


기존연결통로를 존치하여 기능은 유지하고 디자인을 변경하여 상상력이 가득한 공원 조성.

 


실제로 공원입구에서 자전거로 시민이 이용하는 모습. 이것은 유니버설 개념으로서 휠체어를 끈 장애아동도 얼마든지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다.

 


공원입구부터 램프구조 도입. 자연스러운 동선 유입을 유도함.

 

 
단차없는 공원설계를 통해 아이들은 마음껏 뛰어 놀 수 있으며, 실개천을 모티브로 한 수공간에서 즐거움을 느낀다

 


놀이터를 타고 흐르는 수공간. 아이들에게 자연친화적인 놀이를 제공한다.

 

흥미·감성유발

획일화된 놀이시설에서 벗어나 아이들이 좋아하는 도마뱀을 모티브로 아이들의 호기심과 창의력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시설 상부에 배치한 막구조는 아이들이 햇빛에 완전 노출 되는 것을 막아주고 도마뱀의 조형성을 강조하여 공원전체의 상징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모래놀이시설은 아이들에게 자연스러운 사회적 상호작용을 도모함으로써 사회 정서적 발달에 도움을 준다.

 



 
커다란 도마뱀의 형태가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공원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놀이시설자체에 막구조를 도입.아이들의 햇볕노출을 막아줌.
 

유아모래놀이시설. 부모의 쉼터 옆에 배치되어 보호가 용이하도록 함. 


물리적 안전

놀이터 내의 시설물과 바닥재 고무블록은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기준에 준하는 안전인증을 획득한 것이다. 이들은 안전을 고려한 범위 내에서 설치되었다. 시설물간의 최소안전거리를 유지시키고 바닥은 자유하강높이를 고려한 탄성포장재를 사용했다.

 

시설물 안전인증과 설치검사를 통과한 제품사용(안전인증라벨)


유지·관리

어린이놀이터에 대한 유지보수는 정기적으로 안전점검일지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작성된다. 구체적으로 놀이시설물의 안전한 유지관리를 위해 1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모든 원목소재와 부품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한다. 이 밖에 주민들의 불편사항이 발생하면 안전성과 미관을 고려해 유지보수를 진행하고 있다.

 


안전사고에 대비해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함으로써 이용시 불편사항을 최소화하는 한편 눈에 띄는 손상 부품들을 정기적으로 교체함.


목재 경사부분의 단차를 완화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보수작업도 진행된다.


나창호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ch20n@paran.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