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2050년까지 한강물 공급중단 검토

청계천시민위, 청계천 역사성 및 자연생태성 회복(안) 제출
라펜트l나창호 기자l기사입력2014-03-13


 

서울시 청계천시민위원회(위원장 조명래)는 2050년까지 청계천에 공급되는 한강원수 공급을 중단할 것을 제안했다. 대신 광화문역 및 경복궁역 유출지하수와 청계천 상류 지천 계곡수를 청계천 유지용수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청계천 역사성 및 자연생태성 회복(안)」을 12일(수) 발표하고, 이 내용으로 청계천을 바꿔 줄 것을 서울시에 건의했다.

 

보고서는 지난 2012년 3월 청계천시민위원회가 발족한 이후 2년동안 만들었다. 청계천 주변지역 조사· 모니터링과 설문조사, 시민열린회의, 시민대상 설명회 등을 거쳤다.

 

서울시는 청계천시민위원회가 제시한 ‘청계천 역사성 및 자연생태성 회복’ 방향에 동의했다. 이 중 단기 실현 가능한 자연생태하천 조성, 보행친화거리 조성, 시민과 함께하는 청계천관리 등은 바로 시행할 계획이다. 수표교 중건은 타당성조사 후 추진여부를 결정한다.

 

청계천시민위원회는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으로 역사문화성 결여와 자연생태성 미흡, 또 계단형 진출입로로 인한 통행불편 등 세 가지를 지적했다.

역사문화성에서는 2005년 복원당시 계획됐던 수표교 원위치 원형복원이 실현되지 못하고 본래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물이 설치된 것을 지적했다.
 
자연생태성에서는 인공적인 직강 하천 형태로 복원해 인근 지천들과 연속성이 단절되었고, 고수부지의 하안식생대의 자리는 대부분 이용자 편익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되어 생태기능을 상실했다는 게 위원회의 설명이다.

 

또, 진출입로의 부족, 협소한 보도폭, 도로 횡단의 어려움, 주변지역 매력요소 미흡으로 인한 보행활성화 저하 등 보행환경이 열악하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보완하기 위해 위원회가 제시한 방향은 △역사문화를 계승하는 매력 있는 청계천 △자연생태가 살아 숨 쉬는 청계천 △도심 활력 공간 청계천 3대 비전, 5개 키워드다.

5개 키워드는 ① ‘수표교 원위치 중건’으로 역사성 재회복 ② ‘물길 곡선화, 보 철거 등 개선’으로 자연생태하천 조성 ③ ‘상류 지천 복원 및 계곡수 활용’으로 물길 회복 ④ ‘넓게 걷는 청계천 위 보도, 문화휴식거리’의 보행친화거리 조성 ⑤ ‘시민참여형 거버넌스 구축’의 시민과 함께하는 청계천 관리이다.
 
위원회는 먼저 ‘수표교를 원위치 중건’해 역사성을 재회복 해야 한다고 밝혔다. 수표교는 조선 세종 때 지어진 돌다리로, 청계천 복개당시(1958년) 장충단 공원으로 옮긴 채 아직까지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표교 중건의 타당성 및 안전성을 섬세하게 검토할 것을 서울시에 건의하고, 타당성이 검증될 경우 수표교 주변 장교12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과 연계해 인근 근린공원 조성사업 추진 등 수표교 중건을 위한 사전 절차를 차근차근 진행할 것을 주장했다.

 

위원회는 수표교가 원위치에 중건되면 조선시대 토목기술 면모를 보여주는 현장학습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 다음으로 ‘물길 곡선화, 보 철거 등의 개선’으로 자연스런 하천경관을 조성할 것을 건의했다.
청계천을 단기간의 공사에 의해 생태성을 인공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청계천 스스로 자연생태형 하천으로 찾아가도록 긴 시간에 걸쳐서 자연생태 하천으로 변모해야 한다는 것.
  
현재 청계천 물길은 그대로 두되, 저수로 중간중간에 굴곡을 만들어주는 방식으로 생태적으로 양호한 구간을 조성해 나갈 것을 제시했다.

또한 청계천 수심 40㎝ 유지를 위해 설치한 ‘여울보’ 29개소를 지그재그형으로 개선해 물 흐름 정체로 나타나는 수질악화, 하천의 종적 연속성 단절 등을 해결하고 하천의 연속성을 살려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청계천 용수 공급을 위해 매년 지출되는 유지관리비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화문역 및 경복궁역 유출지하수와 청계천 상류 지천 계곡수를 청계천 유지용수로 활용할 것’을 건의했다. 현재는 한강물을 끌어와 공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청계천 상류 9개 지천 중 우선 청계천 유지용수 공급과 연계되는 백운동천, 삼청동천 구간의 물길을 복원할 것을 주장했다. 

 

이와 함께 역사성 회복 차원에서 건물인접 등으로 복원 불가능한 구간은 복개상부에 물길을 표시할 것도 제시했다.

위원회는 이렇게 되면 한강원수 취수·송수 펌프전력비, 정수비용 등 연간 약 5억 9천만 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청계천의 보도 폭을 넓히고 보차혼용도로를 조성하고, 인근 건물의 전면공지를 활용할 것도 건의했다.

구체적으로 모전교, 광교, 삼일교 등 청계천로 교차로 14곳에 크로스형 횡단보도를 설치해 동서 및 남북방향 보행 네트워크를 조성할 것을 제시했다.

또, 삼일교(청계2가)~다산교(청계7가) 구간에서 순차적으로 보도 폭을 넓히고 차로축소 사업을 시행할 것을 건의했다.

 

아울러 청계천변은 건물의 전면공지를 활용한 옥외카페를 조성해 보행자와 방문객에게 휴식 기능을 제공토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청계천 산책로에 쾌적한 휴식공간 조성과 산책로 안내체계 개선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 서울성곽복원에 따른 환상녹지축(한양도성-동대문-오간수문-DDP)의 연계 추진과 함께 남북방향의 보행축으로 수표로 역사문화거리 조성,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내 보행거리 조성, 한양도성과 연계한 DDP거리 조성 추진 등도 건의했다.

 

마지막으로 ‘시민참여형 거버넌스를 구축해 청계천 관리를 함께 해 나갈 것’을 건의했다.

하천관련 업무에 종사한 적이 있는 시민 또는 하천에 관심이 많은 시민을 대상으로 서울시와 함께 청계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청계천지킴이’를 선발할 것을 제안했다.

 

서울시는 청계천시민위원회가 제시한 ‘청계천 역사성 및 자연생태성 회복’ 방향과 맞춰가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위원회가 제시한 청계천 개선·보완 대책 중 단기간에 실현 가능한 사업으로 검토된 자연생태하천 조성, 보행친화거리 조성, 시민과 함께 하는 청계천관리 등은 타당성조사 및 기본설계를 4월경에 발주, 구체적인 사업계획 수립 후에 올해부터 바로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실현 논란이 예상되는 수표교 중건과 백운동천, 삼청동천등 물길 회복 등은 기술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한 후 추진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_ 나창호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ch_19@hanmail.net

네티즌 공감 (1)

의견쓰기
천에 물이 흐르지 않으면 청계천이란 이름이 어울릴까요?
2014-03-1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