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 정책 추진전략은 ‘홍수·물산업·물관리’

5월 국제생태문화포럼 주제는 ‘물’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15-05-20

발표 중인 서명교 국토교통부  수자원정책국 국장

서명교 수자원정책국 국장은 우리나라 수자원 정책의 추진전략을 ‘홍수, 물산업, 물관리’라고 밝혔다.

국제생태문화포럼(회장 구본학)이 5월 2일(토) 오전 10시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자하관 201호에서 43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포럼에서는 ‘물’을 주제로 서명교 국장과 구본학 회장(상명대학교 교수)의 발표가 진행됐다.

국토부는 수해 없는 도시환경 구축으로 협업을 통한 도시홍수 근절대책 추진하고 하천정비를 통한 홍수 취약구간 해소 등의 과제들을 찾고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수변환경 조성, 물산업 한류 확산으로 개최된 ‘2015 세계물포럼’을 계기로 물산업 해외진출 지원을 도모할 계획이다.

‘함께하는 물관리 전략’으로 갈등조정을 통한 지역주도형 물관리 계획을 세우고, 4대강 사업의 마무리로 조사평가 후속조치, 기능조정 등 정상화을 꾀할 방침이다.

우리나라의 수자원 정책방향의 비전은 ‘안전하고 사랑받는 물’로 도시안전(협업), 수변환경(규제완화+환경보전), 물산업 한류(세계물포럼), 지역물관리(갈등관리)에 두고 있다.

대표적인 우리나라 친수구역으로는 △부산 에코델타시티, △구리 월드디자인시티, △대전 도안갑천지구, △나주 노안지구, △부여 규암지구 등이 개발되고 있다.

서명교 국장은 “수자원정책과 수변도시개발의 추진전략과 과제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물산업을 통한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전했다.


발표 중인 구본학 국제생태문화포럼 회장

구본학 교수는 ‘하천사업 모니터링 - 생태적 형성과정에 입각하여 과거의 궤적에 따라 진행되어 가는지를 결정하는 바로미터 -’를 주제로 청계천 모니터링 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사람이 만든 하천은 생태적 기능을 갖는 반면에 자연스럽지 못한 모습을 보이며, 자연이 만든 하천은 생태계 스스로의 형성과정을 통해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특히 청계천은 인구 1천만이 넘는 세계적인 대도시의 한복판을 흐르는 도시하천으로, 인위적인 직강화와 하상 및 호안 정비 등 근본적으로 자연하천과는 거리가 멀 수밖에 없다.

그러나 불과 10~20m 정도의 하천 폭에도 불구하고 하천생태계 스스로의 힘에 의해 자연형성과정이나 생태학적 형성과정을 거쳐 모래톱 및 자갈톱 등의 미소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청계천 생태모니터링(2006~2010)을 통해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인 영향을 받아 교란 후 복원되었거나 새롭게 조성된 생태계의 경우, 초기 2~3년 동안 급격한 생태적 변화를 보이다가 그 이후로는 대체로 안정적 구조와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하천사업이 목적을 달성했는지에 대한 사업 성과와 효과를 친수 생태 문화 및 어메니티 측면에서 조사 분석 평가했다.

금강 세종보 구간을 대상으로 △물리생태지표(순환형구조, 생태환경), △친수문화지표(친수환경, 문화환경), △정보이용지표(생태보전이용프로그램, 정보제공 및 홍보프로그램) 등 각 기능별로 조성 목적을 달성했지에 대한 평가모델을 구축했다. AHP기법 등 중요도(가중치) 산정을 통해 우선평가 항목 최종 평가 모델을 구축했다.

한편 국제생태문화포럼(Global Ecoculture Forum; GEF)은 생태자원과 역사문화자원을 탐방하고 국제규모의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등 생태계와 인간의 바람직한 공존을 모색하기 위해 매월 첫째주 토요일 오전 10시에 정기 학술세미나를 진행한다.

장소는 각 대학, 공공기관, 연구원, 각 사업체 및 현지답사 등 주제에 따라 정해지며,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주제발제 및 토론이 진행된다.

또한 매년 하계와 동계 2번의 학술답사를 떠나며, 올해는 영국, 프랑스의 생태문화를 주제로 세계유산, 람사르습지, 국립공원, 유명 관광지 등을 답사할 계획이다.

이번 답사는 7월 10일부터 25일 사이에 9박10일을 계획 중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은 생태문화포럼(041-563-1241)으로 문의하면 된다.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