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회 조경기술사] 김희영 서울대공원 주무관

“정확하고 특성있는 답변 요구해”
라펜트l강진솔 기자l기사입력2011-10-17


김희영 서울대공원 조경과 주무관

합격 소감

조경에 대한 갈증과 자부심이 채워지는 것 같아 정말 기쁩니다. 긴 터널을 지나 비로소 해냈다는 성취감이 앞으로 조경일을 하는데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공부하는 동안 불평 한마디 없이 도와준 남편과 아이들에게 고마운 마음과 서울대공원 조경과 직원과 과장님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기술사의 합격이 끝이 아니라 이제부터 시작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나만의 합격 노하우가 있다면?

첫째, 긍정적 마인드의 꾸준한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도대체 얼마나 공부해야 합격할 수 있을까 하는 막막한 심정과 포기하고 싶을 때마다 난 언젠가 꼭 기술사가 된다는 믿음으로 스스로를 다독였습니다.


둘째, 몰입입니다. 준비기간은 2년 정도 되었지만 몰입기간은 합격하기 전 3개월 정도였습니다. 온통 어떻게 하면 답지를 나눌까 생각뿐이었고 계획서, 보고서 등 맡은 업무도 모두 기술사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일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때 추진하고 있는 모든 사업들이 기술사 답지의 아주 훌륭한 사례임을 알게 되었고 일에 대한 자부심도 생겼습니다. 라펜트환경과조경, 신문, 카페활동 등에 꾸준한 관심을 갖는 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셋째, 시간관리 및 체력관리입니다. 슬럼프에 빠지거나 가정사, 회사업무 등으로 맥이 끊길 때가 많았지만 꾸준히 시간투자를 할 수 있는 아침시간을 2시간 정도 확보하여 공부를 꾸준히 해나갔습니다. 체력이 부족해서 참 힘들었지만 그런 점을 감안하여 잠은 충분히 자고, 출퇴근시간, 점심시간 등 자투리 시간을 최대한 활용했습니다.


넷째, 가정의 전폭적인 지지와 이해도 빠질 수 없습니다. 아주머니가 집안일은 도맡아서 해주시고, 음식 준비 및 아이들을 돌보는 것은 남편이 담당했습니다. 배우자의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한데 2년 동안 여름휴가를 가족과 따로 보냈으며, 생활을 최대한 단순화 시켰습니다.

 

기술사를 준비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과 어떻게 힘든 고비를 이겨냈는지?

가장 힘들었던 점은 시간 확보, 체력관리와 수시로 밀려드는 회의감이었습니다. 담당자로서 업무는 소홀히 할 수 없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즉시 처리하려 했으며, 아이들 때문에 저녁시간이 자유롭지 못해 최대한 아침시간을 확보했습니다. 업무와 가정, 그리고 체력에서 공부의 맥이 끊기면 다시 시작하기가 정말 힘이 들었지만 조경기술사에 대한 갈망으로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점이 큰 원동력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94회 조경기술사 시험 출제경향

필기시험은 93회에 합격하였는데, 93회 조경기술사 시험은 법적인 부분과 조경 전반적인 분야가 골고루 나왔으며, 까다롭지는 않으나 정확하고 특성있는 답을 요구한 것 같았습니다. 기존 시험은 한 과목에 편중되는 경향도 있었지만 조경이 넓은 분야임을 새삼 깨닫게 되었습니다.

 

조경기술사를 준비하는 수험생에게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경험과 노하우를 접목하여 꾸준히 준비하고 포기하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꼭 합격할 기회가 올 것이라 믿습니다. 본인 만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몰입을 한다면 좋을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의 계획

조경에 수년간 몸담고 있고 또 앞으로 이 일을 해야 하는 저에게는 조경기술사를 꼭 따고 싶은 목표였습니다. 합격하고 나니 덜컥 겁이 나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가 몸 담아왔고 또 앞으로 몸 담을 서울시에서 조경 기술사적인 마인드만 가지고 있다면 못할 일이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은 국민들의 복지와 건강과 행복을 가져다 주는 멋진 일이 저의 직업이니까요. 기회가 된다면 공부를 더 깊이 해서 서울시 녹지정책 방향에 참여하는 것이 저의 꿈입니다.


강진솔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kegjw@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