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면적, 135.6㎢ 증가… 여의도면적 46.7배 달해

지난해 말 기준, 국토면적 10만33㎢ 달해
한국주택신문l김지성 기자l기사입력2011-05-28

지난 1년간 우리나라 국토면적 중 사유지는 5% 감소한 반면 국·공유지는 6%가 증가했다.

 

26일 국토해양부가 발간한 ‘2011년 지적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 국토의 면적은 1033㎢로 지난해의 99897.4㎢에 비해 135.6㎢가 증가했다.

 

이는 여의도(윤증로 둑 안쪽 기준, 2.9) 면적 기준으로 46.7배 늘어난 것이다.

 

우리 국토면적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부터 시작된 비무장지대(DMZ) 토지 등록 사업과 전남 해남의 F1 경기장 공유수면 매립사업의 영향이 크다.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넓은 도시는 경상북도로 19028㎢로 전 국토의 19%를 차지했다.

 

가장 작은 도시는 광주광역시로 전 국토의 0.5% 501㎢로 집계됐다.

 

개인 소유 사유지는 53357㎢로 전 국토의 53%로 조사됐고, 국유지는 24086㎢로 전체의 24%, 공유지는 7602㎢로 8%를 차지했다.

 

5년 전에 비해 사유지는 5% 감소한 반면 국·공유지는 택지개발, 도로건설 등 국가 개발사업으로 6%가 증가했다.

 

지목별 면적은 지난 30년 동안 대도시 중심의 성장과 급격한 산업화로 1980년에 비해 공장부지는 634%, 도로 104%, 대지는 5%가 각각 늘었다. 이에 비해 농업인구 감소로 논이나 밭, 임야는 평균 12% 줄었다.

 

우리나라 최극단의 섬인 독도의 위치는 울릉도와 70km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오키섬과는 울릉도 거리의 2배가 넘는 157.5km나 이격돼 있다.

 

최서단인 백령도는 인천과 175km 떨어져 있는 반면 북한 장연군과는 불과 10km 거리에 있다.

 

한편, 국토부는 이번 지적통계연보에서 수치로 가늠하기 힘든 면적을 표기할 때 주로 사용하는여의도 면적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

 

공간정보 분석 결과 윤중로 둑 안쪽은 2.9, 둑 안쪽과 둔치를 합한 면적은 4.5, 여의도동 하천 바닥까지 면적을 합한 행정구역상 여의도동은 8.4㎢로 집계됐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여의도 면적이 10~20년 단위로 바뀌고 있으며 쓰는 방식도 다양해 통일된 표현이 필요하다통상 면적 표기에 활용되는여의도 면적은 둑 안쪽을 표현한 2.9㎢가 기준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_ 한국주택신문(www.housingnews.co.kr)

김지성 기자  ·  한국주택신문
다른기사 보기
kjs@housingnews.co.kr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