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인 생산자·소비자 협동조합 창립

조경인 협동조합, 조경 생산자 협동조합 창립총회 개최
라펜트l박소현 기자l기사입력2013-03-20

조경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전국적 유통망이 구축될 전망이다.

 

한국 조경인 협동조합서울·경기지부와 한국 조경 생산자 협동조합경기지부의 창립 총회가 광명시 에스컨벤션웨딩홀에서 개최됐다.

 

지난 16일 개최된 협동조합 창립은 2012년 네이버 대표카페로 선정된 <조경커뮤니티>라는 온라인 공간에서 모인 조경인들이 뜻을 같이하며 이루어졌다. 이들은 조경분야에 종사하는 모든 구성원들이 힘을 합해 체계적인 조합활동을 구현함으로써 전체 조경시장과 지역 조경발전을 목적으로 설립했다. 

 

큰 틀에서 지역별 오프라인 공동 판매장(가칭 가든센터) 설치·운영, 지역조합을 총괄하는 전국 조경 연합회를 통한 온라인 유통거래 시스템 마련 등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조경인·생산자 협동조합 구성

이번에 설립된 조합의 구성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한국조경 생산자 협동조합」, 「한국조경인 협동조합」, 「전국 조경 연합회」. 지역별 생산자 협동조합과 소비자 협동조합을 구성하고 이를 통합하는 협의체를 만들어 생산주체와 소비주체의 공동의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

 

생산자 협동조합은 조경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자들의 협동조합으로서 16개 시·도 단위로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이들은 조경제품이나 생산기술의 체계적 보급을 통해 판매 증대와 조경시장 판로개척을 목적으로 한다.

 

조경인 협동조합은 소비자 협동조합과 일치하는 개념으로, 역시 지역별로 점진적으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조경재료를 저렴·원활하게 공급 또는 공동 구매하거나, 공동으로 구성한 서비스를 공유하고 상호간 복리증진을 이루고자 한다.

 

두 협동조합을 통합하는 연합회인 전국 조경 연합회는 지역 협동조합 대표인 이사장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하여 설립하는 단체이다. 이들은 조합활동을 분석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국 조경재료 생산량을 조사하여 생산자 협동조합에 제공

-생산자 협동조합 농원주를 기반으로 고급 조경인력을 조경인 협동조합에 정보 제공

-생산자 협동조합의 생산품목 교환을 통한 공동 판매장 활성화

-조경인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조경재료 생산 유도

-생산자 협동조합 실태파악을 통한 조경시공의 다양성 확보

-온라인 유통 시스템 개발

 

협동조합의 사업내용

이 협동조합들은 유통시스템 구축 이외에도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그 중, 조경 가든센터 운영이 눈에 띈다. 지역별 생산자 협동조합이 구성되면 재원을 마련해 광역단위의 가든센터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가든센터는 조경수, 정원수, 초화류, 분재, 분경, 정원소품류, 조경석, 조경재료 및 자재 등 해당지역 조합원들이 생산한 상품을 전시하여 판매하도록 하는 판매장이다. 지역 내뿐만 아니라 타지역의 협동조합과 협력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이로써, 조합은 소비자들의 구입 편의 제공은 물론 분재 등 특수한 생산업체의 판로를 확보하고 수익 증대를 이루고자 한다. 외국의 성공적 운영사례에 따라 우리나라에서의 가능성도 내다봤다.

 

이 외에도, 공동구매 사업, 신기술 개발사업, 품질관리 및 조합 자체 면허, 자역사회를 위한 조경복지 사업, 홍보·마케팅 사업, 조합원에 대한 상담과 교육 등의 사업도 계획하고 있다.

 

협동조합 탄생배경

조합의 구심점이 되는 조경커뮤니티는 현재 조경시장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난립해 있다고 진단하며 설립배경을 밝히고 있다. 

 

-조경자재의 불투명한 거래

-생산자보다 중간 유통업자가 폭리를 얻는 시장구조

-수종별 재배량 치우침으로 인해 과잉생산

-생산자의 판로개척의 어려움으로 경영악화

-재배·생산현황이 파악되지 않아 수급 불안정 초래

-영세한 농원 규모로 인해 체계적 생산기술 보급과 적용의 어려움

-현실성 없는 생산원가 반영된 조달청 공시가격으로 인해 잦은 설계변경 초래

-조경자재 구입 위한 불필요한 경비 지출로 조경업계 부담

 

그러던 중 작년 12 1협동조합 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영세한 농원과 조경자재 생산자들이 조합을 결성해 상생하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었다.

 

조경커뮤니티 카페 심인섭 매니저는 어려운 상황에서 서로 경쟁하기 보다는 협동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자는 취지에서 의견을 모으고 준비해왔다.”고 전했다.

 

이날 정기총회에서는 정관()을 조합별로 협의 후 가결했으며, 임원을 선출했다. 또 사업계획서와 수지예산서 등을 가결하고 미진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할 방침이다.

  

한국조경 생산자 및 조경인 협동조합 임원

<한국 조경 생산자 협동조합(경기지역)>

이사장- 김병환

이사- 이영준, 최동관, 이재수, 오경진, 김광섭

감사- 송주용

 

<한국 조경인 협동조합(서울지역)>

이사장- 박기원

이사- 이상근, 신언용, 김성민

감사- 김미향

 

<한국 조경인 협동조합(경기지역)>

이사장- 김성수

이사- 김광섭, 최낙훈, 김승진

감사- 박광일

 


심인섭 매니저

 




글·사진 _ 박소현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

네티즌 공감 (6)

의견쓰기
곧 1년이 됩니다. 협동이 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2014-02-27
anlands 한국조경인 협동조합과 한국조경생산자 협동조합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한국의 조경 문화 발전에도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2013-03-21
teamsis 박소현 기자님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기사 부탁드립니다. ^^
2013-03-20
kmjun16 블로그에 출처 밝히고 퍼가겠습니다 ~ ^^
2013-03-20
kmjun16 좋은 기사입니다 ^^ 앞으로도 협동조합이 많아졌음 좋겠습니다 ~!!
2013-03-20
pk03012002 박소현 기자님 한국조경인 협동조합과 한국조경생산자 협동조합의 추진 배경과 의의에 대하여 정리를 잘 해 주셨습니다~~
2013-03-2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