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재의 미끄럼 저항에 대한 탐구(상)

김아름 웹기자와 함께하는 블록 이야기(1)
라펜트l김아름 웹기자l기사입력2011-04-20

포장재의 미끄럼 저항은, 지난해 12, 서울시가서울형 보도포장 미끄럼 저항기준을 제정하면서 관심이 높아진 블록의 품질시험 항목 중 하나다.

 

그동안 점자블록, 경계석 외의 일반보도에 대해서는 이전까지 국내에 이렇다 할 기준이 마련된 것이 없었고, 인터록킹 블록의 품질기준 등이 규정된 KS F 4419(2009 10 30일 개정본)에도 미끄럼 저항 기준에 대해서는 아직 명시되어 있지 않다.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반드시 점검되어야 할 항목 중의 하나인 미끄럼 저항. 이번 시간에는 미끄럼 저항의 정의와 시험방법, 그리고 그 기준 및 효과 등에 알아보도록 한다.

 

1. 포장재의 미끄럼 저항

포장재의 미끄럼 저항이란, 쉽게 말해 포장재가 어느 정도 미끄럼에 강한가를 나타내는 척도라고 할 수 있다. 포장재 자체의 미끄럼 저항이 높으면 높을수록, 쾌적하고 안전한 보도를 조성할 수 있다.

 

포장재의 미끄럼 저항은 미끄럼 저항 지수(BPN, British Pendulum Number)를 통해 나타내는데, 이는 도로포장재 표면의 마찰특성을 측정하는 장비인 영국식 진자시험기(BPT, British Pendulum Tester*)로 산출된 결과값을 가리키며, BPN이 높으면 높을수록 미끄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 BPT(British Pendulum Tester) 또는 이동식 미끄럼 저항 시험기(Portable Skid Resistance Tester)로도 불린다.

 

2. 포장재 미끄럼 저항 시험 방법

미끄럼 저항의 시험 방법은 ‘KS F 2375 노면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 방법(BPT)’ 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장에서는 이노블록이 보유한 영국식 미끄럼 저항 시험기를 예제로 그 시험기기와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미끄럼 저항 시험기

영국식 진자 시험기(BPN, Portable Skid Resistance Tester)로 본 장비로 미끄럼 저항 지수(BPN)을 측정한다.

미끄럼 저항성 측정 시험 방법은 현재 ASTM** E 303과 같은 정치식과 ASTM E 274에 의한 이동식 측정방법이 있다. 이 가운데 정치식인 영국식 미끄럼 저항 측정기는 수동식으로 측정 대상 위치에 거치시키고 노면에 물을 뿌린 다음 1.5kg의 추를 낙하시켜 젖은 노면을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노면의 미끄럼 저항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시험 방법은 AASHTO** T 278에도 규정되어 있으며, 필요한 장소에서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 ASTM : 미국 시험 재료 협회,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 AASHTO : 미국 도로교통 공무원협회,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미끄럼 저항 시험기 구성

 

수평조절 나사

본격적인 시험을 시작하기에 앞서, 수평조절나사를 조정하여 시험기의 수평을 맞춰주어야 한다.

 

수평기

시험기가 수평을 이루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장치로, 수평이 유지된 상태일 경우 기포가 정 중앙 원에 알맞게 들어간다.

 

높이조절 나사

시료를 기기에 밀착되도록 놓은 후, 높이조절 나사를 조정하여 슬라이더가 시료 표면에 표시된 접지에 접하도록 조절해 주어야 한다.

 

슬라이더 및 측정게이지

접지게이지로 시료 표면에 접지 길이를 표시하고, 슬라이더가 접지게이지의 양끝에 닿도록 조정한다.
 

 

슬라이더 및 해제버튼

 

시험 방법

①실험을 위해서는 최소 90X150㎜ 이상의 블록을 준비한다.

②수평조절나사를 돌려 시험기의 수평을 맞추고, 시험기에 밀착되도록 시료(블록)를 놓는다.

③접지길이의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여 시료 표면에 접지 길이를 표시한다. 접지길이는 124~127㎜ 정도로 한다.

 

 

④높이조절 나사를 돌려 슬라이더가 시료 표면에 표시된 접지에 접하도록 조절한다.

⑤시료 표면에 물을 충분히 뿌린 후, 진자를 이동시켜 미끄럼 저항 지수를 측정한다.

BPN 값을 확인하고 진자를 원위치에 고정시킨다.

 

 

⑦표면 온도계를 이용하여 시료 노면 온도를 측정한다.

⑧처음 측정값을 제외한 총 5번의 값을 기록하고, 20℃ 에서의 온도보정으로 BPN값을 구한다.

 

⑨최종 계산식

C20 : 0.0074t2 + 0.0052t - 3.064 + Ct

C20 : 20℃로 보정한 BPN

Ct : 노면온도 t℃일 때의 BPN

t : 노면온도

 

⑩시험 시 주의사항

시료 표면에 남아있는 골재 및 먼지를 충분히 털어 제거해야 하며, 진자가 노면을 통과한 후 방향이 바뀌어 슬라이더가 시료 표면에 다시 접촉하기 전에 진자를 손으로 정지시켜야만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시험 동영상 보기>


다음 호에서는 국내외 미끄럼 저항 기준미끄럽지 않은 보도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노블록 뉴스레터(
http://www.inoblock.co.kr/news_letter/201104/main.asp)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아름 웹기자(라펜트)는 ㈜이노블록과 함께 성장하는 홍보부문 파트장 이다. 또 그녀는 “TV를 봐도, 잡지를 봐도, 그 아무리 멋진 풍경에서도, 이제는 바닥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는 블록 마니아이기도 하다. 심지어 집 앞 보도블록 공사에 카메라를 들이대다 구청직원이냐는 소리까지 들어보기도 했으며, 물이 철철 흘러 넘치는 보도블록을 보기라도 하면, 탄식이 절로 나온다고.

보도블록에 대한 정보량이 미비한 현재, 김아름 파트장은 대한민국의 모든 길이걷고 싶은 길이 되는 그 날을 꿈꾸며, 블록을 이야기 하게 되었다고 밝힌다.


김아름 웹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thecray@hotmail.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