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 예찰·방제 5개년 계획’최초 시행

농경지-농촌진흥청, 산림-산림청, 국경주변-검역검사본부 전담
라펜트l서신혜 기자l기사입력2012-08-18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서규용, 이하 농식품부)는 개정된 식물방역법에 따라 기후변화, 교역확대 등으로 외래·돌발 병해충 발생 위험성 증가에 따른 대응체계 구축을 골자로 하는 병해충 예찰·방제 5개년 계획을 처음으로 수립·시행한다고 13() 밝혔다.

 

병해충으로 인하여 농산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거나, 중앙행정기관과 공조하여 병해충 방제가 필요할 경우 농림수산식품부는 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병해충 예찰·방제대책본부를 설치하여 병해충 관련 업무를 총괄 지휘한다.  

 

한편, 기관별 고유업무와 연계하여 농경지는 농촌진흥청이, 산림은 산림청이, 국경주변은 검역검사본부가 병해충 예찰·방제를 전담토록한다.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에는 중앙병해충예찰·방제단을, ··군에는 131개의 지방예찰·방제단을 설치하고, 병해충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중에서 341명을 식물방제관으로 지정하여 예찰·방제 전문가로 육성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센터에서 병해충 발생상황을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관찰포(觀察圃) 수를 점차적으로 확대하고, ·보리·고추·마늘·사과·배 등 15개품목은 필수예찰을, 고구마·토마토·수박 등 32개품목은 주산지 여건을 반영하여 선택예찰을 실시한다.

 

그동안 피해가 많고, 발생예측이 어려웠던 병해충 43( 17, 14, 잡초 12)의 방제요령을 제정할 계획이다. 특히, 외래·돌발 병해충을 발견한 경우 현장에서 이병주 제거, 약제살포 등의 적절한 임시조치를 취하고, 농진청과 시·도 등에서 병해충 발생 상황별 긴급대응 매뉴얼(행동지침)에 따라 조치하도록 하였다.

 

잡초는 농경지 유입시 큰 피해가 우려되는 외래잡초 중심으로 예찰을 강화하고, 강둑·도로 등 공유지(公有地)에 발생한 잡초는 지자체 주도로, 농경지는 농가 주도로 방제를 실시하고, 농촌진흥청은 제초시기, 농약사용 등 방제지도에 주력할 방침이다.

 

검역검역본부는 공·항만, 수출단지, 수입식물재배지 등 국경주변의 외래병해충 예찰을 강화하고, 외래병해충 발견시 농진청, 산림청,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 통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 참나무시들음병, 솔잎혹파리 및 솔껍질깍지벌레 등 병해충의 피해가 많은 4대 산림병해충을 중점적으로 예찰·방제를 실시하고 꽃매미, 미국선녀벌레, 붉은매미나방 등 외래병해충이나 산림병해충은 농진청, 지자체와 공조하여 예찰·방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병해충 예찰·방제 5개년 계획수립과 병해충별 예찰·방제요령 제정으로 병해충 발생으로 인한 농산물 생산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과 생태환경 및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_ 서신혜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