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한 설계' 시민의 요구를 반영하는 융통성

용산공원 전문가 세미나, 국민이 만들어 가는 용산공원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14-05-22


 

"느슨한 설계. 그 안에서 수많은 주체들이 왔을 때 일어나는 요구를 듣고 바꿀 수 있는 융통성 있는 계획이 되어야"

 

용산공원추진기획단과 (사)한국조경학회가 주최하는 ‘용산공원 전문가 세미나’가 5월 21일(수) 오후 1시 반부터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개최됐다.
‘국민이 만들어 가는 용산공원’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는 지속 가능한 공원을 위해 조성단계부터 국민의 참여방안이 함께 그려져야 한다는 취지에서 열렸다.
 



한창섭 용산공원추진기획단장은 "용산공원의 종합기본계획을 단위공원계획으로 바꾸는 것은 개념과 컨셉 자체를 바꾸려는 것이 아니라 융통성을 갖기 위해서"라며 실제 용역내용 중 구체화된 것은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현재 용산공원은 한-미간의 관계가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미군기지 이전 등의 문제로 설계가들의 대상지 접근이 어려운 상태이다. 설계안이 이미 결정되었고 단위공원계획으로 바뀐 상황이다. 이때의 시민의 요구와 참여를 설계안에 적용시키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전문가 토론은 김덕삼 가천대 교수를 좌장으로, 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 ), 홍윤순 교수(한경대 조경학과), 임희지 연구위원(시정개발연구원), 김연금박사(도시연대 커뮤니티 디자인센터)가 참여했다.

 

성종상 교수는 느슨한 설계를 요구했다. 구체적인 설계안 보다는 설계를 느슨하게 비워두어 시민의 요구를 융통성 있게 반영해야 한다는 것.

 

설계가가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서 하게끔 유도하고, 시민참여나 자연, 예술가에게 맡길 수 있는 영역은 그들에게 맡기는 것이 많은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용산공원은 "우리 시대에 완전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변화해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느슨한 설계의 예로 민병욱 계명대 교수는 캐나다의 다운스뷰의 사례를 예로 들었다. 다운스뷰는 뚜렷한 형태나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않고 천개의 이미지만을 던진 설계를 했다.  이를 용산공원에 적용했을 때 공원 외곽부의 딱딱한 환경이 공원 내부로 들어갈수록 비어있는 땅으로 만들어 계속 변화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는 것이다.

 

홍윤순 교수도 "용산공원은 고정적인 장소가 되면 안 되고, 프로그램도 고착화되면 안 된다. 선순환이 필요하다"며 지속적 변화를 강조했다. 더불어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민과 나아가 사회적 기업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장소적 제공을 하는 것이 변화의 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또한 특별법으로 정해진 '용산공원관리센터'의 설치는 국가주도로 운영되기 때문에 실절적인 기금모금이나 민간기업활용전략 등 적극적인 시민참여의 어려움을 예상했다.

 

서울시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의되었다. 국가공원이긴 하지만 서울의 중앙에 있으며, 실제 이용객의 대다수도 서울시민이기 때문이다. 임희지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서울시와 중앙정부간의 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조성ㆍ관리는 장기간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지자체가 하나의 주체로 협의체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빈 공터에서 시작한 센트럴파크와는 달리 100년에 걸쳐 만들어지는 역사적 공간인 용산공원은 서울시와의 협력으로 다양한 고려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연금 도시연대 디자인센터 단장은 전문가와 시민은 분리의 대상이 아니라 함께 소통하며 공동의 이해로 나아가야 하며, 소통을 통해 파트너십이 형성되고 나아가 주인의식까지 고취된다고 전했다.

 

토론에 앞서 △대형공원 조성 시 시민참여 사례와 교훈 (계명대 민병욱 교수), △용산공원 참여의 공간과 참여의 전략(서울시립대 김영민 교수), △참여형 공원 조성의 제도화 방안(LH 안상욱 단장)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계명대학교 민병욱 교수는 시민참여의 유형을 △공공운영-민간참여, △민관 파트너쉽, △민간위탁으로 나누고 미국의 밀레니엄파크, 캐나다의 다운스뷰 파크, 우리나라 서울숲, 미국의 센트럴파크를 사례로 들었다.

 

용산공원은 서울그린트러스트처럼 '용산공원트러스트'를 설치해 민간파트너쉽을 기반으로 하는 시민참여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또한 모금실행위원회를 발족해 기업의 참여와 후원이 필요하며 그 보상으로 세제혜택 등의 제도적 인센티브를 제안했다.
 



서울시립대 김영민 교수는 프로그래밍 단계에서의 시민참여에 대해 설명했다. 임시공원을 개방한 뒤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용해 전문가집단과 공공기관, 시민단체의 회의를 거쳐 용산공원 내 건축물의 보존과 해체를 결정하자는 것.

 

또한 건물 해체 후 남는 터는 '마당'으로 조성하여 그 터를 시민단체나 동호회가 이용할 수 있게 하자고 했다. 굳이 컨셉뿐만 아니라 시설물 디자인에도 시민의 요구를 반영하고, 공간과 지역의 이야기가 담긴 주제길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민들의 의견을 모으는 방법으로는 SNS와 게임형태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가상 용산공원을 조성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했다.
 



LH 안상욱 단장은 '용산공원행정실무협의회'와 '용산공원도시재생협의회'를 설치해 용산공원추진기획단의 역할을 분담하자고 했다. 시행자에게 권한을 일찍 부여하는 한편,  임시공원을 운영하는 민간조직과 기획ㆍ계획과 설계ㆍ시공, 운영ㆍ관리가 병렬형으로 대응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엔 모든 기관의 협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임을 강조했다. 

 

김한배 한국조경학회장은 "참여의 당위성과 실현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것만이 참여는 아닐 것이다. 설계자가 시민을 존중하는 설계를 한다면 그것이 시민참여이다. 폭 넓은 시각이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한창섭 용산공원추진기획단장은 "미군기지 이전이 시작되면 또 다른 의견이 나올 것이다. 이러한 세미나는 예산이 닿는 한 열어 계속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밝혔다.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