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의 새 패러다임 ‘Foodscape’

조경가가 만드는 공공공간 속 도시텃밭
라펜트l나창호 기자l기사입력2013-08-13

지난달 26일 도시농업공원을 주제공원으로 추가하고, 도시농업시설을 도시공원시설에 포함시키는 도시공원법 하위법령 개정안이 입법예고됐다. 이에 따라 공원 등 공공공간 속 경작공간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지하철의 유휴공간 등을 이용해 상자텃밭 전시를 하고 있지만, 한시적이고 디자인적 관점이 결여되어 큰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Lafayette Greens
©Beth Hagenbuch BLA

 

이러한 가운데 최근 호주조경가협회(AILA)는 조경설계의 새로운 흐름으로 'Foodscape'를 제시해 눈길을 끈다. 공적영역에서는 '경작'이라는 행위에 더해 미적, 공간적 맥락이 디자인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AILA는 “Eating the Landscape: Aesthetic Foodscape Design and its role in Australian Landscape Architecture.”라는 보고서를 통해 조경가의 새로운 도전과 역할을 강조하였다.

 

앞으로 조경설계가는 관상식물 뿐만아니라 야채와 과일 등 작물까지 미학적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이러한 작물에 대한 디자인적 연구는 조경의 주요 논의대상에서 떨어져 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 보고서는 공간적 맥락을 이해하는 조경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도시화로 단절된 식물생산 연결을 극복 할 수 있다고 했다. 도시 속 공간도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경관작물로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것이라고 전하였다. 무엇보다 조경가가 중심이 된다면, 도시민들이 도시농업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공공공간을 만들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보고서의 저자인 Zeunert 씨는 "미학적 Foodscape 설계는 학교와 커뮤니티 가든을 통해 보다 성장할 것이고, 그 가운데 조경설계가는 식용식물의 연구를 통해 현재의 설계개념을 넘어서는 다양한 디자인을 양산해 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이같은 Foodscape가 기반을 잡기 위해서는 지역의 커뮤니티와 클라이언트의 지원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며 참여와 소통으로 조경가가 만드는 새로운 도시농업 공간의 가능성을 내다보았다.

 

[프로젝트]Lafayette Greens

2012 ASLA Professional Awards_General Design HONOR AWARD

- Kenneth Weikal Landscape Architecture, Farmington Hills, Michigan

 


Lafayette Greens
©Beth Hagenbuch BLA

 

생산적인 공간과 아름다운 도시민 삶의 공존, 이것은 미국 디트로이트 중심부 라피엣 그린에서 찾을 수 있다.

 

조경가들은 본격적인 설계에 앞서 정원과 주변 도시구조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미학적 접근, 환경에 대한 고려, 거기에 생산성과 경제성까지 조사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조경설계가들은 도심에서 어떻게 도시농업을 표현할지와 이 공간이 어떻게 특별하게 작동할지를 재구성하는데 설계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 곳의 설계안은 높은 건물로 둘러싸인 도시환경을 고려해 태양각도를 고려해 빛을 받을 수 있는 최적지에 돌출화분을 설치했다. 라벤더로 식재된 넓은 가로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길이 되었다. 보행자들은 잠시 이 곳 벤치에 앉아 숨을 돌리며, 주변 정원에 들어가 200여종의 채소, 과일 등을 감상하게 된다. 도시텃밭 곳곳에 설치된 다양한 조경시설물은 혼잡한 도시일상에 지친 도시민들에게 휴식을 전하는 녹색 오아시스이다.

 

Lafayette Greens
©Beth Hagenbuch BLA


 


©Beth Hagenbuch BLA

 

_ 나창호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ch_19@hanmail.net

네티즌 공감 (1)

의견쓰기
nonomo 국내의 시민의식은 둘째 치고라도,

푸드스케이프라는 단어야 말로 의사생태의 표본이지 않을까?

도심보다는 역시 커뮤니티공간으로 가면서

미학적 요소가 추가 된다는 좋을 것 같은데,

현재 우리 도시농업을 보면 그런 조경적 요소가 많이 부족한 것 같음

하지만 도심에서의 저러한 퍼포먼스는 왠지 음식갖고 장난을 친다는 생각을 지우기 힘든 것 같다.
2013-08-1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