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성남시 재개발 중단… 법정가나

성남시, 법적 대응 검토
한국주택신문l이지현 기자l기사입력2010-07-26

이재명 성남시장이 판교신도시 특별회계에서 전용한 5200억원에 대해 모라토리엄(지급유예) 선언을 한 이후 26일, LH는 성남 구시가지의 2단계 주택재개발 사업을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혀  양측 간 갈등이 법정 다툼으로 이어질 공산이 커졌다.

LH는 또 극심한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전국 400여개 사업장의 경제성을 전면 재검토하는 작업에 착수해 추가로 사업을 포기할 지역이 생길 것으로 전망된다.

LH 관계자는 “지난 23일 재개발지역 주민과 성남시 도시개발사업단 등에 구두로 사업 중단 방침을 통보했으며 이번 주 중 공식 문서를 보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성남 구시가지 2단계 재개발 사업은 중동1, 금광1, 신흥2지구와 수진2지구 등 66만8000여㎡를 개발해 분양 9059가구와 임대 1993가구 등 1만1052가구를 짓는 것이다.

LH는 2005년 12월 성남시와 공동시행합의서를 체결한 뒤 1단계 사업을 마쳤으며 2008년 11월 2단계 사업시행자로 지정돼 지난해 12월 중동1, 금광1, 신흥2지구의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관리처분계획을 수립 중이었다.

사업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한 3곳 외에 수진2지구는 사업시행자로 지정된 뒤 민영 개발을 추진하는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 진행이 중단된 상태라고 LH는 설명했다.

LH는 그동안 설계비 등으로 들인 300억 원가량의 사업비도 손실 처리할 방침이라며 현실적으로 사업을 지속할 능력이 없는 만큼 성남시가 법적 대응을 해오더라도 어쩔 수 없다고 밝혔다.

LH는 사업 시행을 반대해온 주민의 소송 내역과 고도 제한 완화에 따른 재설계 비용 부담 요구, 부적격 세입자에 대한 전세자금 지원 요구 등 수용하기 어려운 민원 사항을 정리해 소송에 대비할 방침이다.

한편, LH는 지난해 말부터 전국 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평가에서 수익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사업은 연기하거나 중단한다는 방침이어서 이번과 같은 사례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LH는 올해 사업비 43조원 가운데 채권 발행으로 22조원을 대고 토지나 주택 판매 등을 통해 21조원을 조달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토지 분양 등이 지지부진해 계약금, 중도금, 잔금 등의 수입이 목표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다.

LH 관계자는 “총부채가 118조원에 달하고 하루 이자만 100억원에 달한다”며 “부동산 경기가 나아질 조짐을 보이고 있지 않아 사업의 전반적인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출처_한국주택신문(www.housingnews.co.kr)

이지현 기자  ·  한국주택신문
다른기사 보기
hyun22@housingnews.co.kr
관련키워드lLH, 한국주택신문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