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이동근 교수, 생태계적응관리 연구단 총괄

차세대 에코이노베이션 프로젝트, 각종 정책제안까지
라펜트l권지원 기자l기사입력2011-07-12



지난해 10월 환경부는 10년 후 세계 3위권 환경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로 15000억원 규모의 10년 장기 R&D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업명은 `차세대 에코이노베이션' 프로젝트이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해온 `차세대 핵심환경기술 개발사업'의 후속이다.

 

환경부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올해부터 본격적인 사업화에 나섰다.

지난해 2 8일 환경기술개발사업 2011년도 추진계획 공고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연구단 선정을 마치고 5 1일자로 계약을 완료했다.

 

본 사업과제중 「생태계 적응 관리기술 연구단」의 총괄책임자로 이동근 교수(서울대)가 선정되었다. 이 교수는 향후 5년간 기후변화에 대비한 고유종 이용 공원·녹지 조성 기법, 유형별 식생 복원모델, 도시생태계 조성 및 관리기법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생태계 적응 관리기술 연구단의 역할

생태계 적응 관리기술 연구단의 과제는기후변화 대응 및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도시생태계 적응 관리 모델 개발입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같은 지구적인 환경문제와 생태계의 파괴가 인간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COP16(유엔기후변화협약), COP10(생물다양성협약), 새천년생태계평가(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가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생태계 변화에 따른 인류복지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강조하고 있으며, 생태계 보존 및 지속가능한 이용 증진을 위한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강조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서도 작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올해 지자체가 기후변화대응과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자연환경보전법 등 생물다양성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도시는 전국토의 도시화 확산을 통해 집중화, 대량화되면서 도시생태계의 악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지역적이며 개별 기술적이고 도시와 자연이 분리되어 있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는데 반해, 본 연구사업을 통해 산···관이 연계된 통합기술개발을 유도하고, 자연과 도시가 일체되는 생태계서비스라는 관점에서 도시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연구단의 활동기간과 구성

생태계 적응 관리기술 연구단은 5 1일부로 계약되었으며, 5년간 연구가 진행됩니다. 조만간 연구단을 홍보하기 위하여 홈페이지를 오픈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활동 및 진행사항을 소개하여 일반시민 및 전문가에게 홍보할 계획입니다.

 

저희 연구단은 총 12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개의 대학, 7개의 산업체, 1개의 연구소로 구성된 조직입니다.

 

연구개발추진체계 및 구성


 

연구단이 주로 추진하는 업무는?

저희 연구단이 맡은 업무는 ‘Ecologically Innovative City: Climate Change Secure Eco-city’의 비전에 맞추어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조성입니다.

 

이러한 도시조성을 위해 육상부, 수환경부, 인공지반부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5분야(식물종 발굴 및 모니터링, 식재 모델 계획 및 설계, 생태계 기능평가, 경제성, 정책지원, 홍보, 도시생태계 적응관리시스템 개발)에서 실용화를 위한 기술지원 및 정책제안을 진행합니다.

 

5년 동안 진행하면서 기후변화에 대비한 식물종 발굴 및 지표종 선정을 통해 식생복원모델 계획 및 설계를 유도하고 이를 위한 생태계 기능평가를 통해 도시생태계 적응관리시스템 구축에 있습니다.

 

이러한 학계에서 연구된 자료 및 관련제도 활용을 통한 시장활성화를 통하여 기업체 기술개발의 상용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고 합니다.

 

현재 진행중인 업무와 앞으로 진행될 사업계획은?

지난 3 3() 수원시, 4() 노원구와 MOU를 체결하였으며, 7 21()에 노원구 김성환 청장과 연구단의 면담이 있을 예정입니다.

 

우선 올해 MOU를 체결한 노원구와 수원시를 대상으로 Test-bed를 위한 구체적인 대상지 및 기초현황조사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2단계에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Pre-test bed를 실시하여 기업체의 기술을 실제 적용함으로써 현장에서 나타난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보완할 계획입니다.

 

그 다음 2014년부터 2015년까지 Test-bed를 실제 적용, 도시생태계에 효과적이고 실용가능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성공적인 사업화와 표준화를 제안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적응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도시생태계의 발전방향을 이끌어낼 계획입니다.


권지원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kjw6738@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