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소, 소나무 숲 보다‘참나무 숲’

국립환경과학원,‘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결과 발표
라펜트l서신혜 기자l기사입력2012-11-08

 

온실가스(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 데참나무 숲이 소나무 숲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8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석순)이 발표한국가장기생태연구결과에 따르면 육상 생태계의 장기 모니터링 결과, 온실가스(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 데 참나무 숲이 소나무 숲보다 효과적임을 밝혀냈다고 전했다.

 

과학원은 월악산에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30년생 이상의 굴참나무 숲과 소나무 숲의 탄소 저장량, 흡수량, 배출량을 각각 조사했다.

 

그 결과, 저장된 탄소량은 굴참나무 숲(198ton C/ha/)이 소나무 숲(109ton C/ha/)보다 평균 약 1.8배 더 많으며, 탄소의 총 흡수량은 굴참나무 숲(6.7ton C/ha/)이 소나무 숲(2.6 ton C/ha/)보다 2.5배 이상 높았다. 배출량은 굴참나무 숲(5.5ton C/ha/)이 소나무 숲(3.4ton C/ha/)보다 1.6배 높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참나무 숲을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 생태계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우포늪엔 연꽃이, 순천만엔 갈대가 증가하는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 습지 생태계가 기후변화 및 자연적인 환경변화에 따라 꾸준히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담수 생태계인 우포늪의 연꽃 군락 면적은 2011 31,501㎡로, 2009(17,003) 대비 무려 8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 생태계인 순천만에서는 원 형태로 형성되는 갈대 군락의 직경이 매년 약 1.5m 정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지포 전경과 순천만 갈대군락

 

이와 함께 충북 제천에서 박쥐 모니터링 사업 중 국내에서 약 80년 만에 멸종위기종 2급인작은관코박쥐의 서식을 확인되는 등 야생동물의 생존도 환경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기상변동과 까치 번식을 조사한 결과로는 산란 전 기후조건과 까치의 번식이 높은 상관성을 보임을 확인했다.

 

이외에도 월악산에서 실시한 양서류 및 파충류의 모니터링 결과, 개체 수가 서식지와 기상 조건에 따라 반응해 생활방식이 비슷한 생물도 지구 온난화에 따라 받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밝혀냈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향후 육상, 담수, 연안, 동물생태를 모두 아우르는국가장기생태연구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기후변화 등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장기적인 변화를 예측하고, 국토환경 보전을 위한 생태계 관리방안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신혜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