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 산림, 그간 복원방식으론 안돼”

강원대 길승호 교수 ˝지역주민과 협의 반드시 필요˝
라펜트l강진솔 기자l기사입력2022-03-21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되며 최장 시간인 213시간 동안 초속 20m가 넘는 강풍을 타고 서울시 1/3 면적을 휩쓸고 간 경북 울진·강원 삼척 산불.


9일 간의 화마는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강릉·동해·영월 등 인근 지역을 넘어 다발적으로 발생했고, 삼척 LNG 가스기지 등 국가기간시설과 천년고찰 불영사, 수백년 자란 울진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 인근까지 확산되기도 했다.


현재 산불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피해면적 만큼이나 진상규명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산림청은 밝혔다.


또한 산림청은 「산림분야 조사·복구 추진단」을 구성하여 신속한 산림피해조사와 산사태 등 2차 피해방지를 위한 응급복구, 경제림 조림 및 산림생태계 복원계획 등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산불로 사라진 녹색댐으로 인해 장마, 산사태 등 제 2차 피해의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피해지역이 넓고 우수한 경관이 잿더미로 남아버린 현실에 산림 복원의 방향과 복구에 세간의 관심이 쏠릴 수 밖에 없는 이유다.


특히 이번 산불은 임산물 채취 등을 위한 경제적 목적을 위한 단순림이 산불을 더 키웠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피해가 많은 강원도 일대 산림은 소나무가 주된 수종을 이루고 있는데 불쏘시개 역할을 한 것이 단일 수종으로 대량 식재된 소나무라는 것이다.


결국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시민단체들은 목적성에 치중한 획일화된 '숲가꾸기' 방식을 지양해야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산림생태복원을 위한 태도와 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강원대 생태조경디자인학과 길승호 교수 역시 그동안 이용 가치에 목적을 두고 단일 수종으로 경제림을 조성한 부분을 지적한다.


“지난 30년 간 정부는 경제적 목적성을 두고 산림을 키워왔지만, 이젠 bottom-up 방식을 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주도권을 가지고 복원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주민들과의 협의하는 시스템이 작동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길 교수는 산을 생활터전이자 생업의 장소로 살아가는 강원도 지역 주민들에게 산불은 도시나 농촌지역에 나는 산불과는 다른 의미라고도 설명했다.


“'소나무를 심어달라’, '양봉을 할 수 있게 나무를 심어달라’는 등 생계에 따라 원하는 수종도 다르다. 이번 복원과정에서는 단일 수종 식재로 획일적인 경관을 만들기보다는 주민들과 협의를 통해 가치있는 수종을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며, “이를 통해 지역의 다양한 경관을 만들어가는 것이 이번 산불화재 이후 산림생태복원을 위해 필요한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과 경관상의 이유로만 수종을 선택하기는 어렵다는 말도 덧붙였다. 현재 불이 오랜시간 탔기 때문에 토양의 pH 상태나 표피, 유기물층 상태를 측정하고 과학적 데이터를 통해 식재가 가능한 수종의 범위를 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7일 정부는 산불방지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피해 산림 생태계 복구에 10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고 호소하며, 국민들의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

_ 강진솔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kegjw007@gmail.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