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소비기반형 온실가스 배출산정·자연기반해법으로 실현해야”

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의 공존 전략 공유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22-06-14

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 UNFCCC Global Innovation Hub(UGIH) GHG Accounting Working Group 공동위원장

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의 공존 전략에 관한 내용을 한국환경정책학회서 전한다.

김 명예교수가 강조하는 내용은 총 네 가지다.

베이스라인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방법의 전환과 대응

우선 베이스라인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시 산출 대상을 사업 전 과정으로 확대하고, ‘소비 기반형 도시 배출량’을 고려하는 방안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스라인(Base-Line)이란 온실가스 저감노력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량을 계산하는 비교 기준으로서, 해당 사업이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의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계산 또는 예측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베이스라인 온실가스 배출량은 ‘운영(operation)’ 단계에서의 에너지 사용량(scope1: 직접 배출량)과 전기 사용량(scope2: 간접 배출량)에 의해서 산출돼 왔다.

그러나 IPCC 6차 보고서에서는 운영 단계에서의 배출량뿐만 아니라 재료 구입, 시공, 운영과 건물 해체의 전 과정에 걸쳐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특히, 소비 기반형 도시 배출량을 순-제로 온실가스로 줄이기 위해서는 건축물, 식량, 의류, 교통, 생활양식 등 도시 소비패턴과 공급체인을 고려해, 도시 행정구역 밖에서 생산되어 수입되는 상품과 서비스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감축도 포함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가탄소중립전략에서도 수입되는 소비재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수입국의 계정에 포함되도록 권고하고 있어 김 명예교수는 “‘탄소국경조정제(Border Carbon Adjustments)’ 혹은 ‘탄소국경세(Carbon Border Tax)’의 도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을 예측된다”며 “새로운 ‘소비/니즈 기반형 GHG 회계시스템(Consumption/Need-based GHG Accounting System)’의 국제 표준화 움직임에 참여하는 선제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연기반해법의 적극적인 활용

탄소 흡수 및 저장을 강화하기 위해 녹지나 호수 등의 자연기반해법의 적극적인 활용 또한 강조했다.

자연기반 해법은 자연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하게 이용·관리하는 동시에, 훼손된 생태계 복원을 통해 기후변화, 식량, 물, 사람의 건강, 재난, 사회·경제 발전 등 사회·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말한다.

6차 보고서의 ‘C.6.2’에서는 ▲생물-기반형 건축 자재 ▲저영향 개발기법(물-녹지 기반시설)등도 포함하고 있으며 갯벌, 해안 습지, 해초류 등의 해양자원의 이용도 좋은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19년 기준 자연 기반형 감축량 노력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총량의 12%까지 제거하기도 했다.

김 명예교수는 “저감과 적응 대책 측면에서 자연 기반형 솔루션의 co-benefits를 파악해 탄소중립 온실가스 계정에 포함토록 해야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디지털 전환

김 명예교수에 따르면 디지털 혁신은 ▲온실가스 계정 체계의 디지털 전환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기술의 디지털 전환 ▲탄소 금융의 디지털 전환 세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선 ‘온실가스 계정 체계의 디지털 전환(Data Science: Microsoft Azure Program)’ 측면에서는 자료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작성, 자료 저장과 분석, 새로운 지식 생성, 데이터 관리 차원에서의 혁신이 가능하다.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기술의 디지털 전환(Disruptive Tecnhnology)’ 측면에서는 디지털 산업 기술(4차 산업혁명 기술)이나 스마트 그리드, 기후 스마트 도시개발 기술 등 ICT와 AI가 그린 전략과 기후행동이 융복합 되는 혁신 기술이 요구된다고 짚었다.

‘탄소 금융의 디지털 전환(Blockchain/DLT Technology: IBM Hyper Ledger Program)’ 측면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및 흡수 기술을 통해 얻게 되는 탄소 상쇄 크레딧의 투명한 거래를 위한 블록체인의 활용이 국제적으로 필수화 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투명한 MRV 확보 기술과 디지털 신뢰 생태계 조성 기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UNFCCC의 기술 메커티즘과 금융 메커니즘의 연구개발에 대한 협력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지자체의 자발적 감축계획 위한 국제협력

무엇보다도 김 명예교수는 “국가 자발적 감축 계획(2030 NDCs)의 효율적인 이행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자발적 감축계획(LDCs) 프로토콜의 출범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탄소 중립법에 의한 탄소 중립 도시의 지정을 촉진하고, 기후 외교의 수동적인 자세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온실 가스 방법론 개발 및 시범 테스트를 통해 UNFCCC의 새로운 이니셔티브인 UGIH의 허브 역할을 수행할 것”을 당부했다.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