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산불 야생동물 서식지 피해, 환경부‧산림청 공동대응 필요”

산불 피해에 따른 멸종위기 야생 동물 서식지 복원 토론회 개최
라펜트l주선영 기자l기사입력2023-06-14



산불 피해에 따른 멸종위기 야생 동물 서식지 복원 및 보전 국회 토론회 개최 / 녹색연합 제공


기후 변화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대형 산불, 이로 인한 피해지의 산림 피해는 심각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피해지 복원에 대한 해당 부처의 정책들이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국회의원, 국립생태원, 녹색연합은 지난 8일 국회의원회관 제3 간담회의실에서 산불 피해에 따른 멸종위기 야생 동물 서식지 복원 및 보전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 앞서 윤건영 국회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은 기후위기 시대에 인간과 동물의 공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형산불은 식생 및 토양을 변화시켜 산림유전자원의 인위적 변화를 초래하며, 이를 기반으로 서식하는 야생 동물의 개체 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라며, “생태계 손실 대응을 위해 산림 생태복원의 원칙과 방향을 세우고, 자연성이 잘 회복될 수 있도록 면밀한 계획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첫 번째 발제에 나선 우동걸 국립생태원 선임연구원은 울진삼척 산불 피해지 산양 서식지 현황 및 보전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우동걸 선임연구원은 야생동물이 산림 식생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며 야생동물이 산림 복구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자연의 회복 능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강하기 때문에 산림과 숲을 보는 관점에 야생동물의 서식지로서의 관점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안전상에 문제가 없는 산불 피해지역에서는 수목 잔존물을 되도록 존치하고 벌목을 지양해 먹이 자원 및 은신처를 확보하는 등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고려해야 한다라며 장기적으로 낙동정맥과 같은 주요 산림 생태축을 보존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지역을 관통하는 도로에 대한 로드킬 저감시설을 확충하고 생태 통로를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는 이은재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 지역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미피해지와 자연복원지, 조림지의 야생생물 다양성 및 풍부도를 비교했을 때 조림지의 경우 전반적으로 다양성 및 풍부도가 낮게 나타나지만, 개활지를 선호하는 일부 종이 조림지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이기도 한다고 밝혔다.

 

이어 자연복원과 조림을 단순 비교하는 논쟁보다는 경관 수준에서 자연복원의 규모와 조림의 방식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서식지 이질성을 어떻게 높일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산불 이후의 야생동물 서식지와 관련된 해외 연구도 소개하며 산불 등 산림 생태계가 교란되기 전의 종 풍부도를 90% 이상 회복하기 위해서는 75%의 잔존목을 존치해서 자연복원을 유도해야 생물 다양성이 회복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산림 구조 다양화, 이단림 조성, 숲틈, 수변과 같은 산림 미세환경 조성을 통해 산림 구조의 복잡성과 이질성을 높여 종다양성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토론은 이상돈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이상돈 교수는 이번 토론을 통해 환경부와 산림청이 산불에 따른 산림 변화와 생물다양성에 대해서 협업을 고려하고 정책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말했다.

 

이규명 산림청 생태복원과장은 산불피해지의 생태복원에 대한 부분에 공감 하지만 사유림의 경우 산불 피해를 입은 산주 입장에서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을 위해서 잔존물을 존치시키고 자연복원을 위해 그대로 두라고 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낙동정맥 생태축 복원과 관련해서는 단절 구간 2,013개소에 대해 단순한 이동 통로 수준이 아닌 70m~100m 수준의 넓은 규모로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환진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장은 야생생물 보호 기본 계획과 멸종위기종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에 산불에 의한 서식지 파괴가 큰 서식지 위협 원인 중 하나임을 명시하고 있다산불뿐만이 아니라 기후 변화로 인한 다양한 요인에 대해서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해외 대형산불 대응 사례 점검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산불에 따른 서식지 변화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발언했다.

 

박은정 녹색연합 자연생태팀장은 야생동물은 산림에 살고, 산림은 야생동물을 필요로 한다. 야생동물과 산림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임에도 산림을 복원하는 데 있어서 야생동물의 서식지로서의 복원에 대한 고려가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산불 이후 숲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야생동물 서식지의 변화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라며 산림청과 환경부와 같은 관계기관의 협력 대응이 필수적이다. 또 기후위기 산불이 일상화 대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정 면적 이상의 산불 발생시 야생동물 조사 등이 반드시 이뤄지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산양의 경우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인 동시에 CITES 협약에 속한 종이고 IUCN에서 취약종으로 분류한 국제적인 보호종이다. 산림청의 복원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검토 대상이어야 하는데 그런 부분들이 산불 피해지 복원 계획에서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이영근 산림과학원 연구관은 산불에 의한 야생동물의 영향에 있어서 산림을 관리하는 산림사업과 야생동물의 서식지로의 기능을 어떻게 잘 연관시킬지에 대해 각 부처, 기관의 연구 성과와 경험이 있기에 함께 고민하고 조화로운 산림 정책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최형규 산림청 산림자원과 서기관은 정책 반영을 위해 산불로 인한 잔존물이 유효하게 이용이 되고 있는지 연구가 더 진행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지난달 산림청은 ‘2023년 봄철 산불 현황분석 및 향후 대응전략을 발표하면서, 올해 봄철 산불은 모두 497, 4,654ha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 향후 대응전략으로 산불발생 원인 차단, 지상공중 진화 역량 강화, 대형 산불피해지에 대한 합리적인 복원계획 수립 등을 발표했다.

_ 주선영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rotei@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