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Expert Interview (3) _ ‘사회참여’ 전문가의 사회..
주대관 엑토건축 대표((사)문화도시연구소 상임대표,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강산도 변한다는 시간 10년, 이 오랜 시간 동안 농촌의 복지 특히 농촌건축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건축가가 있다. ..
/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Expert Interview (4) _ 배려와 기부는 물려주어야 ..
변금옥((주)이산 조경부 전무이사) 지난 2010년, 국내 조경계의 이목을 받은 한 사건이 있었다. 여성조경가들이 힘을 합쳐, 놀이시설이 아직 열악한 라오스 비엔티안에 어린이놀이터를 조성·기부하..
/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Expert Interview (5) _ 조경의 사회참여, 모두의 ..
한승호  _ (주)한설그린 대표이사사람들은 누구나 자기만의 가치관이 있고, 저마다 사는 방식이 다르다. 그래서 누군가에겐 특이하게 보이는 일일지라도, 누군가에게는 그저 일상일 뿐이다. 사..
/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기업의 사회참여
Corporate Community Involvement 최근 사회적으로 주목할 만한 키워드로 ‘환경복지’가 떠오르고 있다. ‘지속가능성’이 사회의 핵심가치로 떠오르면서 ‘환경복지’란 말은 비단 국가와 국민에만 해..
정리 _ 강진솔/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도시농업, 이대로 괜찮은가?
서울특별시가 얼마 전 ‘Agro-City 서울’을 비전으로 하여 2020년까지 서울시민 가구당 3.3㎡의 텃밭을 조성, 도시농업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시농업 붐이 일다 급기야 우리나라의 수도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푸른도시 만들기 워크숍
서울시 공원녹지 미래상에 시민의견 수렴 지난 3월 11일, 오후 2시가 되자 서울시청에는 수많은 인파가 모이기 시작했다. 이유는 바로 서울시 공원녹지의 미래상을 수립하기 위한 “푸른도시 만들기..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사)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10주년 기념 정기총회 및..
인공지반녹화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지난 2월 28일 서울여자대학교 바롬인성교육관 1층 국제회의실에서 (사)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회장 이은희, 이하 인공지반녹화협회) 10주년 기념 ‘정기총..
이형주/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나는 도시농부다, ‘도시농업 콘서트’ 개최
텃밭에서 나누는 ‘TALK, TALK, TALK' 도시농업이 대세다. 너도 나도 빈 땅이나 베란다에 작은 공간을 만들어 텃밭을 가꾸고 심지어 돈을 내고 땅을 빌려 내가 먹을 작물을 재배한다. 가까운 상점에..
서신혜/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感慨無量
Be Deeply Moved   오늘 아침 이곳저곳에 뿌릴 씨앗들을 정리하며, 이 꽃은 어느 정원에, 이 풀은 어느 둔덕에 심겨 우리를 행복하게 해 주려나 하는 기대감으로 잔잔한 흥분을 느꼈습니다.&l..
정영선/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30300
30300   <환경과조경>의 300호 발행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이 일이 얼마나 힘들고 의미 있는 일인지 알고 있기에 축하의  마음은 더욱 더 큽니다. 또한 오휘영 창간인께서 30년 ..
이상림/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Fragmentary thought about the rooftop greening
초가지붕의 상품력마에다 씨의 이야기에 의하면, 현재 착공계획 중인 3건, 설계 협의 중인 3건, 합계6건이 모두 초가지붕 주택이라는 것이다. 초가지붕에 대해 사람들의 인지도가 높아진 사실에 기..
야마다 히로유키/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겹벚나무
Fugenzo Japanese Flowering Cherry 지난 겨울은 추워도 너무 추웠다. 몇 년 만의 한파라는 뉴스가 연일 보도되었고, 눈도 정말 많이, 또 자주 왔었다. 이런 추운 겨울을 지나고 나니 꽃소식이 하..
이선아/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비목나무
Redfruit Spicebush 분포비목나무는 ‘비목’이라는 가곡의 제목으로 알려져 더욱 친숙감을 주는 나무이다. 녹나무과로서 세계적으로 45속 1,500여종이 분포하고 있는데, 학자에 따라서는 1,500여 종..
박형순/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자귀풀, 차풀, 조개풀
Indian sensitive joint vetch, Senna, Hispid Arthraxon 자귀풀과명 _ 콩과(Leguminosae)학명 _ Aeschynomene indica L.자생지 _ 논, 논둑, 냇가, 습지, 밭 언저리 등에 자생형태 _ 습지에서 자라..
류병열 /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보리지와 컴프리
Borage and Comfrey 이번 호에 소개할 보리지와 컴프리는 같은 지치과로서, 지치과에서도 흔치 않은 허브식물이다. 특히 꽃이 핀 모습이 얼핏 비슷하게 보인다.보리지를 재배하면서 보았던 두 가지..
김상민/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