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

경상북도 야생동물 생태공원 조성계획

월간 환경과조경20038184l환경과조경

·위치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 산 78번지 일대
·면적 : 70ha
·발주처 : 경상북도청 산림과
·사업비 : 약 40억원
·기본계획 : 유림조경기술사사무소

 

필자가 작년 12월부터 금년 3월까지 수행한 프로젝트는 경북 야생동물 생태공원 조성계획이라는 프로젝트로서 경상북도에서 발주한 용역이었다. 필자 나름대로는 이때껏 즐겨하던(?) 근린공원이나 어린이공원의 용역세계에서 빠져 나와 새로운 과업을 한다는 설레임에 들떠 있었다. 용역생활을 하는 분들은 모두가 아시는 바이겠지만 본 용역은 필자에게 참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해준 과업이기에 더욱 애착이 가는 과업이었고, 좀 더 잘하지 못했던 미련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앞으로는 더 잘해야지 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쓰고자 한다.
물론 말도 많고, 탈도 많고 실수의 연발인 개인의 용역과정을 이야기한다는 것이 대단한 일은 아니겠지만 본 과업의 성격이 여타의 과업과는 다르고, 향후 유사한 과업을 대할 때 겪을 수 있는 상황을 그저 넋두리마냥 풀어보고자 한다.

 

먼저 본 과업을 처음 대하면서 헷갈렸던 부분 하나를 이야기 하자면 용역의 주제에 대한 문제이다. 처음 본 과업에 대한 설명을 전해 들었을 당시 필자는 상당한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더해가는 헷갈림속에서 나름대로의 답을 찾아야 했으니 일천한 견문과 머리로 얼마나 고생스러웠겠는가? 일단 처음 필자 스스로에게 던져보았던 개념 정립에 관한 문제부터 이야기 하도록 하자. 본 과업의 용역명은 “경상북도 야생동물 생태공원 기본계획”이다. “야생”과 “생태공원”, 그리고 이 두가지를 합친 야생동물 생태공원이라는 개념의 정리가 필요할 것 같다. 먼저 유사개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야생동물원
자연의 지형과 지물을 이용하여 각종 동물들이 자연상태로 서식하는 모습을 재현하여 보여주는 곳으로 전시장내 인공시설을 최소화 함
·사파리
주로 차량을 이용하여 동물원 방사장 내부 혹은 야생동물원 내를 직접 관람할수 있는 시설
·생태동물원
자연서식지와 비슷한 환경을 조성하여 그 속에 야생동물들이 사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연과 그 보존의 중요성을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동물원
·토종 동물원
특정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지역환경에 적응되고 생태적 건강성을 갖는 동물종을 개발하고 보존하는 형태의 동물원으로 생태적 환경 및 서식환경이 다른 외지 혹은 외국의 동물수요를 배제함

 

위와 같은 유사개념에 비추어 본 용역상의 개념 정립은 미흡하지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즉 야생동물 생태공원이란 “특정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지역환경에 적응되고 생태적 건강성을 갖는 동물종을 개발하고 보존하는 형태의 동물원으로서 이용자가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자연상태로 서식하는 모습을 관찰함으로써 자연과 그 보존의 중요성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동물원의 형태.”

 

여기서 짚어 보아야할 문제는 과연 대상지가 용역의 기본적인 주제의 성격과 부합되는냐 하는 문제이다. 물론 전체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간혹 대상지의 성격, 과업의 성격과 다를 경우 용역을 진행하는 입장에서는 여간 곤혹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주어진 대상지 내에서 새로운 꺼리(?) 혹은 잠재적 특징을 도출하여 설계의 모티브로서 이용하여도 좋겠지만 특정 목적 또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과업의 경우 대상지와의 관계도 무시못할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발주처의 입장에서도 우선 배정된 예산과 사업을 기간내에 종결지어야 된다는 점에서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좀더 장기적인 계획하에 주제 및 대상지 선정이 이루어진다면 좀더 효율적이고 실제적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을까 하는 바람이다. 물론 본 용역의 대상지가 그러하다는 것은 아니다.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본 용역의 대상지는 남쪽으로는 안동호를 북쪽으로 놓고 작은 능선이 어우러진 계곡형의 부지로 동물원으로서의 입지조건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겠다.
 
… 중략 …

 

기본적인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 분석을 마친 후 관련 사례지 조사 및 문헌조사과정에서는 국내사례로 용인에버랜드 사파리와 대전동물원을 답사하였고, 외국의 사례는 관련 책자 및 카다로그를 참고하였다. 문헌조사로는 서울대공원 종합개발계획수립(1996), 서울대공원 토종생태공원계획(2003)을, 연구논문으로는 생태관광지의 야생동물 탐방로계획에 관한 연구(1999, 장혜영, 서울대 대학원 생태조경학과 석사논문)와 동물원에서의 생태적 전시를 위한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2001, 송병룡, 상명대 환경자원학과 박사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이러한 자료수집 및 분석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곰박사로 알려진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한상훈 박사님과 채희영 박사님으로부터 자문을 얻었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과정과 사례조사를 행함에서 우리는 한가지 문제점에 봉착하였다. 그것은 국내에는 용역명에서 보여주는 주제, 즉 야생동물을 이용한 생태공원의 사례가 없다는 점이었다. 아프리카 지역의 국립공원(사파리)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가 인위적인 사육시설과 한정된 토지내에서 전문지식을 가진 전문가들에 의해 운영되는 동물원이라는 점이다.
물론 사례가 없다고 못할 것도 없고, 또한 유사한 사례를 응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공원으로 발전시킨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그게 어디 쉬운 일인가.

 

우리는 일단 발주처의 담당 공무원과의 협의를 통해 과업의 범위와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한후 과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협의과정에서 나타난 또 다른 문제는 담당 공무원의 생각과 우리의 생각이 다르다는 점이 어느 정도 감지되었고, 차후 자체 회의를 거쳐서 제시된 내용은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주변에 울타리를 치고 지역에서 서식하는 야생동물을 포획해서 방사하고, 그 사이를 이용객이 견학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면 되지 않을까라는 것이었다.

 

이 병 훈 Lee, Byung Hoon
유림조경기술사사무소 차장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이병훈  ·  유림조경기술사사무소
다른기사 보기
risdhoon@hanmail.net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