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

최신현 _ (주)씨토포스 대표

월간 환경과조경20137303l환경과조경

Choi, Shin Hyun

조경건축가와 건축가
얼마 전 반가운 소식을 접했다. 조경가가 건축을 한다는,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조경가가 건물을 설계하고 있다는 뉴스였다. 유치한 이야기지만 건축가가 찍을 수 있는 준공도장은 조경가는 할 수 없다는 설움에 살지 않았는가. 또 마음 한편으로는 조경가들은 조경과 건축의 상생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우리는 얼마나 건축을 이해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물음도 들었다. 이 소식의 주인공은 (주)씨토포스의 최신현 대표이다. 디자인이 천직이라고 말하는 그는 조경이 하는 건축은 주변 경관을 배려하는, 현재 매스를 빈 공간에 들이대는 건축과는 많이 다를 수 있다는 시사성을 던진다.

최신현: 고등학교 시절 내가 살 집의 건축디자인도 직접 할 정도로 건축 등의 디자인에 관심이 무척이나 많았다. 그러던 중 미국에 계신 부친의 지인이 조경이란 분야를 나에게 이야기를 해주었는데 그게 너무나 좋았고 설렜다. 그때부터 조경이 하고 싶었다. 건축에 대한 관심이 많았던 만큼 조경에 대한 관심도 점점 커졌고 건축과 주변 경관을 아우를 수 있는 것이 조경인 것을 알게 되었고, 그렇게 조경이 다루는 범위를 알고 난 뒤 조경학과 진학을 결심했다. 정말 즐겁게 캠퍼스 생활을 했다. 특히나 디자인 과목은 더 열심히 했고, 건축이나 토목과의 수업도 들을 정도로 열정적으로 빠졌던 것 같다.
조경과 건축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그 생각으로 대학 때 건축학과의 수업은 거의 다 수강했다. 조경실무에 나와서 건축분야와 협의할 때도 관련 분야를 잘 알고 접하니 수월했다. 일을 하면서 건축 안을 항상 제시하고 있으며, 큰 건축사사무소와 일할 때도 주로 초기부터 함께 디자인하자고 제안한다.

몇 년 전 미국의 유명한 IDA라는 회사와도 협업에서도 내가 건축배치를 잡기도 하고, 그 프로젝트가 공모에 당선되기도 했다.
그동안 해왔던 작업들 모두 건축가에게 일방적으로 맡기지는 않았다. 건축가들과 협업을 해보면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디자인이 아니라 자신의 건물이 돋보이는 디자인을 많이 하는 편이다. 하지만 환경에 따라 디자인은 달라져야 한다. 도시에 건축물이 들어서더라도 도시의 맥락에 맞추어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오랫동안 살아온 선조들의 마을을 보면 튀는 건물이 없다. 배치와 형태가 조금씩 다를 뿐이다. 주변 환경과의 통일성이나 조화로움을 담는 것이야말로 선조들의 지혜가 닮긴 디자인이고 삶의 디자인이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갑자기 도시 안에 잘난 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서로 잘 낫다고 경쟁구도의 모습을 띠고 있다. 그런 현상을 보면서 주변과 어울리고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이 기준이 되어 건축물이 조성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공원 안에 들어서는 건축물은 이용자들에게 편안하고 공원과의 조화에 있어 그리 튀지 않고 세련되게 들어가야 한다는 기준으로 다루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원에 들어가는 모든 건물디자인은 대략적이나마 schematic 디자인은 해왔다. 혹은 건축가가 그렇게 하도록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북서울꿈의숲도 그랬고 동탄신도시 등이 그 예이기도 하다. 

그런 연장선상에서 건축 석사과정에 입학했고, 예건(대표 노영일) 측의 요청으로 예건 사옥을 디자인하게 되었다. 그간 협업이나 공원디자인 과정에서 건축설계는 해왔지만 건축공종으로 수주해서 디자인과 시공을 한 것은 첫 번째이다.
건축물도 매스만을 다룰 것이 아니라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노영일 대표는 일반건축가와 조경건축가가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다고 말하며, 조경이 하는 건축이 차별화 된 것을 보여주길 기대한다는 의사를 전달해왔다. 그렇게 시작하게 되었다. 조경과 건축이 디자인 초기부터 맞물려 계획한다면 건물과 공간이 서로 섬길 수 있는 디자인이 도출될 수 있다.

예건사옥도 그런 의미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공장 안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어떤 욕구가 생길까, 일하면서 잠깐 눈을 돌리면 창을 통해 바깥의 아름다운 정원을 바라볼 수도 있고, 또 멀리가지 않아도 아름다운 경관을 바라보며 테라스에서 쉴 수 있는 공간을 바라지 않을까, 출퇴근하면서 늘 정원을 바라보면 좋겠다, 자기만의 업무공간에서 벗어날 때만이라도 주변 경관을 바라보면 좋겠다는 등 이용자의 입장에서 고민을 했다. 건축가 보다는 조경건축가가 조금은 주변 경관을 바라보지 않겠는가.
이런 성격이 잘 드러난 곳이 바로 ‘전통공간(오래된 전통마을 등)’이다. 일시에 디자인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경험이 계속해서 축적하여 나온 디자인의 결정체이다. 선조들은 집을 한 채 짓더라도 원래 있던 주변 자연과 아주 친밀하게 만들어냈다. 낯선 건물 하나를 공간에 이입하는데 있어 더 화려하거나 웅장한 건물이 아니라 인근 환경과 동화하려고 했던, 그 스며들 것 같은 친밀한 디자인이 가슴에 와 닿았다.
동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는 지금 ‘전통공간’을 통해 축적된 디자인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만큼 실수가 없는 디자인이 있을까.

--------------------------------------------------------------------조경가 최신현은 현재 (주)씨토포스 대표이사로, 현재 서울시 공공조경가 그룹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를 역임한 바 있으며, 한국조경사회 수석부회장직을 수행하며 조경분야 권익 발전에 힘쓴바 있다. 디자인 한 서서울호수공원이 ASLA에 수상하며 세계적 조경가 반열에 오르기도 했다.

강진솔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