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6
어제의 조경에서 21세기 환경조경으로
어제의 조경에서 21세기 환경조경으로 미국 에너지성 에너지기술개발분과 도시열섬현상연구관련... 책임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20023월호
UN 메모리얼파크(가칭) 학생 아이디어 공모전
김수봉·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과 교수 ...교수 도심 속의 메모리얼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이다. 유엔 소속 한국군 36...
월간 환경과조경/20139월호
2012 디자인 대구 페스티벌
김수봉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대구가 디자인을 통해 공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는 (사)한국조...
월간 환경과조경/20127월호
공원녹지와 여성 ; 우리의 공원녹지는 안전한가
토론자들이 좋아하는 공원녹지의 형태는 그것이 근린공원과 같은 제도권내의 공원녹지이던지 아니면 캠퍼스와 같이 제도권 밖의 공원녹지이던지...
월간 환경과조경/19981월호
지속사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공원녹지 디자인 유형
공원녹지 디자이너들은 아마도 공원녹지의 사화적 목적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공원녹지디자인의 기준을 가지고 있었...
월간 환경과조경/19976월호
지속가능한 개발을 향한 경상남도의 환경보전 전략
지자체 출범 후 지나친 개발로 의한 환경파괴를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경남의 개발을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보다 능동적으로 지역주민의 생활과 ...
월간 환경과조경/1996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