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유 왕실 채원에 ‘서울텃밭’ 조성된다
서울시-베르사유 국립조경학교 양해각서 체결라펜트l신혜정 기자l기사입력2016-06-03

서울텃밭 조감도 ⓒ서울특별시
330여년 전 조성된 베르사유 왕실 채원에 ‘서울텃밭’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한불수교 130주년을 기념하며 베르사유 국립조경학교(학교장 Vincent Piveteau)와 지난 1일 ‘서울텃밭’ 조성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작물을 파종하여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양해각서(MOU)의 주요내용은 △‘서울텃밭’ 조성을 통한 도시농업 가치 공유 △환경친화적인 농업 발전 및 교류협력 확대 △홍보활동 지원 및 공동 관심사업 개발 협력 등이다.
베르사유 왕실 채원은 330여년 전인 루이14세 시기에 조성되어 9ha 면적에 400여 종의 과일과 채소, 꽃, 허브 등을 재배하고 있으며, 프랑스 고급전문조경사 양성기관인 베르사유 국립조경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u Paysage)가 관리하고 있다.
운영내용은 서울텃밭 60㎡ 규모에 2020년까지 5년간 베르사유 왕실채원 정원사가 직접 관리한다. ‘서울텃밭’을 소개하는 안내 간판과 작물 표지판도 한국어와 불어로 표기하여 설치된다.
또한, 2016년 유엔이 정한 ‘세계 콩의 해’를 기념하여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콩(백태, 서리태)을 주 재배 작물로 선정하였다.
주요 재배작물은 콩, 목화, 메밀, 수수, 도라지, 당귀, 부추, 배추, 무이며, ‘서울텃밭’ 둘레는 우리 정서와 친근한 경관 작물인 봉선화를 파종하여 한국의 미를 표현하였다.
올해 일년생 작물재배를 시작으로 내년 부터는 다년생 작물인 머루, 다래 등과 수생식물인 연근, 왕골등 재배작물을 다양화하고 텃밭음악회, 수확 농산물 나눔행사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2012년 6월 ‘도시농업 원년’을 선포하고 3년 만에 옥상텃밭, 학교농장, 상자텃밭 등 도시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도시농업 면적을 네 배 이상(29ha → 141ha) 늘린바 있다.
특히, 시는 ‘서울도시농업 2.0 마스터플랜’을 발표하여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생태계 회복에 노력하고 있고, 올해 독일, 이탈리아, 미국 등 10개국에서 참가하는 서울도시농업 국제컨퍼런스를 열었다.
서동록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세계 각국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유서 깊은 베르사유 왕실채원에 ‘서울텃밭’ 조성으로 서울 도시농업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한류전파의 장으로도 활용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글 _ 신혜정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ssinkija@naver.com